컨텐츠 바로가기

07.07 (일)

이슈 끝나지 않은 신분제의 유습 '갑질'

"단가인상 동의 안하면 공급 끊어"…레미콘 '시멘트 갑질' 못참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이재윤 기자] [25일 레미콘 업계, 여의도 중기중앙회서 시멘트 단가인상 철회촉구 대규모 규탄대회 개최]

머니투데이

25일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에서 열린 시멘트가격 기습인상 관련 규탄대회 모습./사진=이재윤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충청북도에 위치한 A레미콘 업체는 시멘트 제조업체로 부터 소위 '갑질'을 당했다고 주장했다. 올해 1월 시멘트 가격 인상을 "(받아들이지 않으면)공급이 잘 안될 수도 있다"는 압박을 받았다. 하루 평균 벌크시멘트트레일러(BCT) 10대분을 공급받던 A레미콘 업체는 실제 물량이 80~90%가량 줄어 생산에 차질을 빚게 됐다. 원가의 65~70%가량을 차지하는 시멘트 공급이 중단되자 울며 겨자 먹기로 A레미콘 업체는 계약을 맺은 건설업체에 양해를 구했다. 하지만 이마저도 받아들여지지 않으면서 거래처를 잃었다. A레미콘 업체 대표는 "최근에도 시멘트 공급량이 부족할 수 있다는 소문이 돌고 있고, 다음달 부터 추가 가격인상 통보를 받았다"고 말했다.

중소레미콘업계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레미콘 비대위)는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K비즈홀에서 '시멘트가격 기습인상 관련 규탄대회'를 개최했다고 25일 밝혔다. 레미콘 비대위는 900여개 레미콘 제조사로 구성된 임시단체로 최근 시멘트 업계 가격인상 요구에 따라 지난달 꾸려졌다. 위원장은 서울·경인, 강원도 레미콘조합 이사장 등이 맡았다.

레미콘 비대위는 다음달까지 시멘트 가격 인상을 철회하지 않으면 조업 중단과 사업자등록증 반납 등 강경대응에 나서겠다고 엄포를 놨다. 이날 행사에는 700~800여명이 참석했으며 △시멘트 단가인상 철회 △레미콘업계에 대한 압력과 강요 중단 △제조원가·인상요인 공개 △시멘트시장의 독과점에 대해 상시 감시와 불공정거래 사례 조사 등을 요구하는 결의문을 채택했다.

업계에 따르면 최근 시멘트 제조업체들의 추가 인상요구를 반영하면 1년 간 상승폭이 30~35%에 달한다. 시멘트 제조업체들은 지난해 7월 공급단가를 5.1%를 올렸고, 올해 2월 17~19%에 이어 다음달 12~15% 추가 인상을 추진 중이다. 레미콘 비대위는 주요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고 있는 가운데 시멘트 단가인상이 물가 상승을 부추킬 것이라고 했다.

이성열 레미콘 비대위 공동위원장(강원도레미콘조합 이사장)은 "올해 상반기 처럼 시멘트가격을 인상해주지 않으면 공급을 중단·감량하지 않을까 걱정"이라며 "올해 상반기 화물연대 파업과 레미콘 운반사업자(콘크리트 믹스트럭) 파업, 모래·자갈 등 원자재와 유류·운반비 급등으로 역대 최악의 위기를 겪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레미콘 자료사진./사진=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레미콘 비대위는 정부와 국회에도 도움요청을 보냈지만 답변을 받지 못했다고 털어놨다. 지난달 시멘트 제조업체로 단가인상을 요구받은 직후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 물가정책과에 가격 정책과 불공정 문제로 검토를 요구했고 국회 여·야 대표 등에도 탄원서를 제출했다. 윤택진 레미콘 비대위 집행위원장(충북레미콘조합이사장)은 "정부에선 아무런 응답이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건설사와 레미콘 단가인상도 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김영석 레미콘 비대위 공동위원장(서울·경인레미콘조합 이사장)은 "건설사에 레미콘 공급 단가를 올려달라고 얘기해 봤지만 '꿈도 꾸지 말라고 한다'고 얘기한다"고 말했다. 레미콘은 시멘트와 건설사 사이에서 이른바 '샌드위치 신세'로 최근 3년간 14곳이 문을 닫았고, 매각이 41건 등 대표·법인이 달라진 건수가 132건에 달한다.

건설원자재인 시멘트 원가를 공개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었다. 레미콘 비대위는 주요 시멘트 제조업체 5곳이 공급의 94%가량을 장악하고 있는 독·과점 구조라고 지적했다. 나아가 시멘트 제조업체가 단가인상 원인으로 손꼽은 유연탄(고효율 석탄) 수급문제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했다. 유연탄에 따른 제조원가 부담을 올해 2월 단가인상을 통해 이미 반영했다는 주장이다.

시멘트 업계는 레미콘 제조사들의 주장에 대해 정면으로 반박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발생하고 유연탄 가격이 추가로 급등했고 환율영향까지 겹치면서 비용 부담이 더 커졌다는 설명이다. 시멘트업계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감내하는데 한계에 도달했다"며 "적정수준의 제품가격을 보장 받는 길 외에 다른 수단이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재윤 기자 mton@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