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李 최측근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 구속영장 청구에
李, 당 대표 취임 후 첫 긴급 기자회견 열어
”대선자금은커녕 사탕 하나 받은 것도 없다”
자신을 둘러싼 대장동 특혜 비리 의혹과 관련한 특검을 내세우면서, 윤석열 대통령을 겨냥한 부산저축은행 의혹 등도 엮어 함께 진상을 밝혀내야 한다고 주장한 것이다. 결국 명목상 ‘대장동 특검법’이지만 실제로는 윤 대통령을 겨냥한 특검이라는 말이 나온다. 민주당은 지난 대선부터 윤 대통령이 대검 중수2과장 시절 주임검사로 수사에 참여했던 2011년 부산저축은행 사건 당시 대장동 대출 건을 수사 대상에서 제외했고, 이 때문에 대장동 사태가 불거졌다고 주장하고 있다. 정치권 일각에선 “측근에 대한 수사망이 좁혀오자 재차 대장동 특검을 꺼내들었는데, 대선 때도 줄기차게 요구했던 특검 요구와 다를 바가 없다”는 말도 나온다.
이 대표는 이날 오전 최고위가 시작되기 불과 몇 분 전 언론에 특별기자회견을 열겠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오전 11시 기자회견에서 “사건의 실체적 진실은 왜곡되고, 야당을 향한 정치탄압과 보복수사의 칼춤소리만 요란하다”며 대장동 특검을 촉구했다. 이 대표는 “거듭 말씀드리지만, 이재명은 단 1원의 사적 이익도 취하지 않았다”며 “온갖 방해에도 민간이 독차지하려던 택지개발이익 중 3분지 2가 넘는 5500억원 이상을 공공환수했다”고 했다.
이 대표는 검찰이 관련 사건을 조작한 정황이 의심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권이 바뀌고 검사들이 바뀌니, 관련자들 말이 바뀐다”며 “진실을 찾아 죄를 주는 것이 아니라, 죄를 주기 위해 진실을 조작, 날조하는 것이 아닌가 의심된다”고 했다. “저는 대선자금은커녕 사탕 하나 받은 것도 없다”라고도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 대표는 대장동 특검을 거듭 촉구했다. 이 대표는 “모든 의혹들을 남김없이 털어낼 좋은 기회”라며 “대통령과 여당이 떳떳하다면 특검을 거부할 이유는 없을 것”이라고 했다.
이 대표는 “대통령 부친의 집을 김만배 누나가 구입한 경위 등 화천대유 자금흐름 진술이 갑자기 변경되는 과정에서 제기된 조작수사와 허위진술교사 의혹도 밝혀야한다”고 했다. 화천대유 최대주주 김만배씨의 친누나로 알려진 김모씨가 지난 2019년 4월 윤석열 대통령 부친 윤기중씨 소유 서울 연희동 단독주택을 19억원에 매입한 것을 겨냥한 것이다. 김씨는 대장동 개발 사업 시행사인 ‘성남의뜰’에 주주로 참여한 천화동인 3호 사내이사다. 김씨가 윤 대통령 부친 연희동 집을 샀을 때 윤 대통령은 서울중앙지검장이었고, 김만배씨는 경제지 법조 담당 기자였다.
하지만 이 대표가 주장한 대장동 특검 요구는 지난 3월 민주당이 당론으로 발의했던 대장동 특검과 비슷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민주당은 대선 직전인 지난 3월 3일 ‘대장동 개발 비리 사건 및 이와 관련한 불법 대출·부실수사·특혜 제공 등의 의혹 규명을 위한 특검 수사요구안’을 당론으로 발의했다. 이 법안은 2011년 윤 대통령이 부산저축은행 대출 브로커를 봐줬다는 의혹을 특검에서 수사하자는 성격이 짙다. 당시 민주당의 특검법이 명시한 6가지 수사 대상 가운데 5가지가 ‘부산저축은행 부실 수사’ 등과 관련되어 있다. 반면 지난해 9월 국민의힘·국민의당이 발의한 별도의 대장동 특검법안은 성남시장으로 사업의 최종 인허가 승인권자였던 이재명 대표를 겨냥했다. 이는 이 대표의 ‘배임’ 혐의에 초점을 맞춘 법안이었다. 국민의힘·국민의당 특검법안은 민주당의 저지로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상정이 무산됐었다.
이날 이 대표는 대장동 특검을 반대한 것은 국민의힘이라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여러분도 기억하시겠지만 저는 대선 토론에서 특검하자고 얘기했다”며 “당시 윤석열 후보의 태도가 모호하긴 했지만, 국민의힘 당시 일관된 주장은 특검하자였습니다. 저도 역시 특검하자고 얘기했다”고 했다. 이 대표는 “그런데 실제로 협상하면 이상한 핑계를 대면서 특검을 거부했던 게 국민의힘”이라고 주장했다.
[주형식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