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9 (수)

이슈 세월호 인양 그 후는

세월호 추도사 안 낸 교육장관…“이유 없다” 무성의 답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6년 만에 기억식 불참 이어 추도사 없어

“학생안전 무시하는 모양새” 비판 나와


한겨레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지난해 12월 정부서울청사 집무실에서 <한겨레>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김혜윤 기자 unique@hani.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교육부 수장으로는 6년 만에 세월호 기억식에 불참한 데 이어 추도사도 내지 않은 것에 대해 교육부가 “특별한 이유가 없다”고 밝혔다. 학생안전 책임 주무부처 장관으로서 부적절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세월호 유가족을 중심으로 나온다.

17일 교육부 관계자는 이 부총리가 별도의 세월호 참사 추도사를 내지 않은 이유를 묻자 “특별한 이유가 없다”고만 밝혔다.

이 부총리는 16일 오전 11시 세종시에 있는 세종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국민 안전의 날’ 행사에는 참여했지만, 같은 날 오후 3시 경기도 안산 화랑유원지에서 열린 ‘세월호 참사 9주기 기억식’에 불참하고 추도사도 내지 않은 것이다.

앞서 지난 2017년 이준식 전 부총리가 세월호 3주기 기억식에 참석하지 않았지만 당시에도 부총리 명의의 추도사는 나왔다. 이준식 전 부총리는 추도사에서 “고귀한 생명을 잃으신 분들의 희생이 결코 헛되지 않도록 안전한 교육환경을 만들어 가는데 더욱 세심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며 모든 교육 분야에서 생명존중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살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겨레

16일 오후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화랑유원지에서 열린 ‘세월호 참사 9주기 기억식’에서 416합창단과 시민합창단이 기억합창을 하고 있다. 사진 공동취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14년 4월16일 세월호 참사로 숨진 304명 가운데 안산 단원고 2학년 학생이 250명, 교사가 11명이다. 4·16 세월호 참사 가족협의회와 4·16재단이 여는 세월호 기억식은 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단원고 학생과 교사 등의 넋을 기리는 행사인 만큼 학생안전을 책임지는 주무부처인 교육부 장관의 참석과 추도사 낭독은 남다른 의미를 지닌다.

유은혜 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2019년 5주기 기억식부터 2022년 8주기 기억식까지 해마다 참석했다. 교육부 장관 자격으로 처음 참석한 5주기 기억식 추도사에서 유 전 부총리는 “교육과정 중에 발생했던 참사에 대해 무한한 책임을 느끼며 유가족 여러분께 깊은 유감과 위로의 말씀을 올린다”며 고개를 숙였다.

한겨레

유은혜 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오른쪽)이 2019년 4월16일 오후 경기 안산시 단원구 화랑유원지에서 열린 세월호 참사 5주기 기억식 행사를 마치고 퇴장하며 눈물을 흘리자 유가족이 눈물을 닦아주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11월 취임한 이 부총리가 기억식 참석도, 별도의 추도사도 내지 않은 것을 두고 김종기 4·16 세월호 참사 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이날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일정 조율을 위해 이달 초에 교육부에 초청장을 보냈지만 행사 전날까지 답변이 없어서 오지 않은 것으로 이해했다”며 “학사일정 중에 수학여행을 갔다가 학생으로서 생을 마감했는데, 주무부처인 교육부 장관이 당연히 참석을 하고 다시는 이런 비극이 일어나지 않도록 교육 수장으로서 최선을 다하겠다는 약속을 해도 부족한데 추모사도 없이 가타부타 말이 없어 유가족들은 분노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세월호 참사와 관련해 별도의 메시지를 내지 않은 대통령실의 입장이 이 부총리의 행보에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송경원 정의당 정책위원도 “주무부처인 교육부 장관이 세월호 참사의 시대적 의미인 학생안전에 대해 망각 또는 무시하는 모양새가 되어버렸다”며 “세월호 참사를 정치적으로 바라보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지적했다.

앞서 교육부는 세월호 참사 9주기를 앞두고 전국 시도교육청에 보낸 안전주간 관련 공문에 ‘세월호 참사 추모’라는 표현을 제외했다. 지난해 교육부가 보낸 공문에서 ‘참사 추모’를 강조하며 노란 리본 패용 등 구체적인 안내를 했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에 대해서도 교육부 관계자는 “특별한 의도는 없다”고 설명했다.

이 부총리가 세월호 기억식에 불참한 이유에 대해서 교육부는 “안산에서 열리는 기억식에도 참석하려 했지만, 교통상황상 (오전 행사 참석 이후 이동하면) 시간을 맞추기 어렵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이유진 기자 yjlee@hani.co.kr

▶▶뱀 ‘앞구르기’ 첫 포착…“공중 점프해서 몸 둥글려”
▶▶한겨레의 벗이 되어주세요 [후원하기]▶▶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