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인공지능 시대가 열린다

배순민 KT AI 소장 "AI에 개인정보 기꺼이 넣을 때가 진정한 AI 시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고려대 기술법정책센터 세미나서 AI 경쟁력에 대한 의견 피력
"AI 발전 위해선 개인정보 제공·데이터 통합 어느 정도 필요해"

머니투데이

배순민 KT 융합기술원 AI2XL 소장이 30일 서울 중구 웨스턴조선에서 열린 고려대 기술법정책센터 세미나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배한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내 AI(인공지능) 분야 리더로 손꼽히는 배순민 KT 융합기술원 AI2XL 소장이 AI 완전히 일상으로 들어오려면 개인정보 침해에 대한 두려움을 깨고 많은 데이터를 모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데이터가 많이 모여야 AI가 발전하고 사용자에게 진정한 가치를 줄 수 있다는 뜻이다.

배 소장은 30일 서울 중구 웨스턴조선에서 '디지털 심화 시대 통신산업의 AI 전략'을 주제로 열린 고려대 기술법정책센터 세미나에서 "사람들이 AI(인공지능)를 사용할 때 나의 개인정보가 너무 오·남용되는 등 권리 침해를 받는 것 아닐까 걱정하는데, 진정한 AI 시대는 내 개인정보를 넣음으로써 오는 돌아오는 가치가 더 클 때 온다"며 "웬만큼 조금씩 데이터를 가져서는 제대로 된 AI가 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배 소장은 AI를 발전시키고 경쟁자들보다 앞서나가기 위해 "엄밀히 데이터는 독점이 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데이터가 대규모로 모이지 않으면 한층 더 똑똑한 AI를 만들 수 없다는 것.

배 소장은 특히 초개인화 AI를 위해서는 개인정보가 더욱더 많이 필요하다고 했다. 그는 "내가 쓰는 물건, 금융, 건강, 지인 등 이런 정보를 한 번에 통합하지 않고는 AI 시대로 갈 수가 없다"며 "이런 정보를 모을 때 하나하나 딴지(규제)를 건다면 진정한 AI 시대로 가는 속도는 백배 천배 만배 늦어진다"고 했다.

이날 세미나에 참석한 조현철 LG유플러스 DATA사이언스 담당도 데이터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조 담당은 "3년째 저희 (황현식) CEO께서 정부와 만날 때마다 데이터 이야기를 한다"며 "학습데이터가 정말 많이 보강됐다고 하지만, 여전히 부족해 중국의 데이터를 사 오는 상황이다"고 했다.

배 소장은 "한국처럼 제조업부터 검색, 커머스, 엔터테인먼트 등 산업 포트폴리오를 다 가진 나라는 거의 없다"며 "한국은 가장 많은 데이터를 가진 나라 중 하나기 때문에 AI 경쟁력을 품고 있는 나라다"며 AI 발전을 위해 데이터 활용 범위를 넓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날 참석한 이통3사(SK텔레콤·KT·LG유플러스) AI 담당 임원들은 이통3사의 탈통신 정책에 대한 인식이 점점 좋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 담당은 "3, 4년 전에는 통신사에서 AI로 뭐해요라는 질문이 나왔지만, 이제는 통신사니까 AI를 하고 싶어하겠다는 이야기가 나온다"며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으로 쌓이는 고객 데이터로 새로운 서비스를 만드는데 AI가 동력이 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배 소장도 "지금 갓 사회에 진출하는 세대는 인터넷을 사업이나 기술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수도관'처럼 당연한 것으로 인지한다"며 "이 때문에 KT를 어떤 회사라고 생각하냐는 질문에 통신이나 인터넷 기업이 아닌 LLM(초거대 언어모델)이나 기가지니 같은 AI를 만드는 회사라고 생각하더라"고 전했다.

김지훈 SK텔레콤 AI 서비스 성장 담당도 "SK텔레콤은 AI 컴퍼니로서의 진화를 목표로 인프라부터 서비스까지 AI 피라미드 전략을 구체화하고 있다"고 했다.

배한님 기자 bhn25@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