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질병과 위생관리

비타민D ‘노인성 지방간’ 예방…국립보건연구원 세계 첫 규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클립아트코리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비타민 디(D)를 섭취하면 노인성 지방간 발생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질병관리청 산하 국립보건연구원은 16일 비타민 디가 자연 노화로 생기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생성을 직접 억제할 수 있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간에 5% 이상 지방이 들러붙은 경우를 말한다. 국내 65살 이상 고령 인구 40.4%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다. 지방간은 간 경변과 간암, 제2형 당뇨병, 심뇌혈관 질환, 치매 등 만성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현재 비알코올성 지방간에 대해 공인된 치료제는 없다.



국립보건연구원은 비타민 디가 어떻게 지방간 발생을 억제하는지 정확히 밝혀낸 건 이번이 세계 최초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늙은 쥐를 이용한 실험을 진행했다. 노화로 비타민 디가 결핍된 쥐는 미토콘드리아(에너지 생성 세포 소기관) 내막 구조 조절 단백질인 마이코스60의 양이 급격히 줄어 간에 지방이 많이 축적됐다. 이 쥐에 충분한 비타민 디를 보충해주자 마이코스60 단백질이 늘면서 지방간 생성이 억제됐다. 연구 결과는 의과학 분야 세계적인 학술지인 ‘실험분자의과학’ 1월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국내 비타민 디 결핍 환자는 2017년 8만 6285명에서 2021년 24만 7077명으로 증가 추세다. 특히 노화가 진행되는 65살 이상 고령층은 2022년 국민건강영향조사 기준 16.3%만 비타민 디를 충분히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은 “고령층의 적절한 비타민 디 섭취가 노화로 인한 지방간 발생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윤주 기자 kyj@hani.co.kr



▶▶한겨레의 벗이 되어주세요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기획] 누구나 한번은 1인가구가 된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