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당 반품 포함 피해업체 약 90곳"…3월엔 닛산 '납품액 삭감 강요' 발각
도요타 커스터마이징&디벨롭먼트 |
(도쿄=연합뉴스) 박상현 특파원 = 일본 도요타자동차 자회사가 자동차 대량생산에 필요한 일부 장비를 하청업체에 무상으로 보관하도록 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요미우리신문이 30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도요타가 주식 90% 이상을 보유한 자회사 '도요타 커스터마이징&디벨롭먼트'(TCD)는 늦어도 2년 전부터 범퍼와 휠 등을 제조하는 데 사용하는 자사 소유 금형(金型·금속으로 만든 거푸집)과 검사용 기구 등 650여 세트를 전국 약 50개 하청업체에 맡겨 창고 등에 보관하도록 했다.
거푸집은 무겁고 부피가 커서 보관하려면 넓은 장소가 필요하지만, TCD는 하청업체에 별도로 비용을 지급하지 않았다.
일본 공정거래위원회는 조만간 TCD를 하청 관련 법률 위반 사례로 판단해 재발 방지를 요구하는 권고를 할 방침을 굳혔다.
이어 "부당한 (장비) 보관은 습관적으로 장기간 지속돼 최장 30년 가까이 보관을 강요받은 사례도 있다고 한다"며 "실제 피해 총액은 억엔 단위로 오를 가능성이 있다"고 관측했다.
아울러 공정위는 TCD가 하청업체 60여 개에 총 5천만엔(약 4억3천만원) 상당의 차체 부품을 부당하게 반품한 것으로 보고 있다.
장비 보관과 반품 피해를 모두 입은 업체도 있어서 실제 피해 업체 수는 90개 정도로 추정된다고 신문은 전했다.
앞서 닛산자동차도 지난 3월 36개 하청업체에 수년간 납품 대금 지급액 인하를 강요한 것으로 드러나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재발 방지 권고를 받은 바 있다.
이에 우치다 마코토 닛산 사장은 4월부터 3개월간 임원 보수의 30%를 자진 반납했다.
psh59@yna.co.kr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