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본 사도광산.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일본 니가타현 사도시가 사도광산에서 일한 조선인 근로자 독신 기숙사 터에 새로운 안내판을 설치했다고 마이니치신문이 18일 보도했다.
이는 지난 7월 사도광산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결정 당시 일본 정부가 조선인 노동자를 포함한 광산의 '전체 역사'를 전시하겠다고 약속한 데 따른 조처다.
보도에 따르면 시는 지난 8월 30일 일본어와 영어로 적힌 안내판을 기숙사 터에 설치했다. 안내판에는 "전시 중 이 기숙사에 한반도 출신 노동자가 거주했음을 알 수 있는 기록이 남아 있다" 등 내용이 담겼다.
다만 안내판에는 강제 징용과 관련된 내용은 빠졌다. 시는 현재 안내판은 임시로 설치된 가설물이고, 올해 안에 녹에 강한 소재를 사용한 정식 안내판을 설치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조선인 근로자의 가족 기숙사, 식사를 만들던 공동 취사장, 기숙사 부근 연수 시설 '금강숙' 등 터 3곳에도 올해 안으로 안내판을 마련할 예정이다.
앞서 일본 정부는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 범위를 16세기 말에서 19세기 중반으로 한정해 신청했다. 이에 한국 정부는 조선인 노동자의 강제노동이 있었다며 제2차 세계대전기를 포함한 '전체 역사'를 반영할 것을 요구했다.
일본 측은 "국제법상 전시 징용은 강제노동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입장이었지만, "전체 역사를 포괄적으로 다루는 시설·설비 등을 갖추라"는 세계유산위원회의 권고를 이행하기로 약속함에 따라 한국 측으로부터 등재에 대한 이해를 얻었다고 신문은 전했다.
아울러 일본은 사도광산에서 희생된 조선인 출신자를 포함한 모든 노동자의 추모행사를 매년 현지에서 실시하기로 했으며, 올가을에도 추모식을 여는 쪽으로 가닥을 잡고 있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김은빈 기자 kim.eunbin@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