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스트=이진영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맹자 어머니가 아들 교육을 위해 세 번 이사를 했다는 내용의 성어가 맹모삼천(孟母三遷)이다. 나쁜 짓 일삼다가 태도를 고쳐 착한 일 하는 쪽으로 행태가 변하면 개과천선(改過遷善)이다. 두 성어에 ‘천(遷)’이라는 글자가 들어있다.
어딘가에서 다른 한 곳으로 옮겨가는 행위를 일컫는 글자다. 모습을 달리하면서 옮기는 과정을 변천(變遷), 수도를 다른 곳으로 바꾸면 천도(遷都)라고 부르는 식이다. 장소를 옮기는 이전(移轉)은 달리 천사(遷徙)로도 적었다.
글자는 벼슬자리와 관련한 쓰임이 많다. 관직에서 승진하면 흔하게 교천(喬遷)이라는 말을 썼다. 높은 곳[喬]으로 이동한다는 뜻이다. 그 반대로 자리를 강등당하면 좌천(左遷)이다. 왼쪽보다 오른쪽을 더 높이 쳤던 옛 관념에서 비롯한 표현이다.
그래서 천객(遷客)이나 천인(遷人)으로 적으면 아예 귀양살이를 하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있던 벼슬자리에서 쫓겨나 먼 곳에 살아야 하는 유배(流配)의 형벌은 달리 천적(遷謫)으로도 불렀다. 벼슬을 그저 낮추면 폄천(貶遷)이다.
자리를 비워[除] 다른 이에게 준다(授)고 해서 관리의 임명을 제수(除授)라고 불렀는데, 그 자리에서 쫓아내는 일이 혁제(革除)다. 관직의 권한을 깎아버리거나(削), 아예 빼앗는(奪) 삭탈관직(削奪官職)은 우리도 잘 쓰는 말이다.
△매일 조선일보에 실린 칼럼 5개가 담긴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세상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91170
[유광종 중국인문경영연구소장]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