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서울 시내 휴대폰 판매점 앞을 한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오는 7월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 폐지를 앞두고 일부 판매점에서 최신 스마트폰의 보조금 지급 경쟁이 과열되고 있다. 다만 업계 전체로 확산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7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일부 온라인 스마트폰 판매점은 이달 들어 아이폰 16 일반 모델 128GB(기가바이트)짜리를 번호이동으로 구매하면 0원이라고 광고 중이다. 갤럭시 S24 256GB 모델의 경우 번호이동만이 아니라 기기변경도 돈을 돌려받을 수 있을 정도로 보조금을 늘린 판매점도 있다. 단통법 폐지안이 국회 소위원회를 통과하기 전인 지난해 11월 중순만 해도 수십만원 수준에서 판매됐는데 고객 주목도가 높은 플래그십 스마트폰 위주로 보조금을 늘린 것이다.
통신사들은 단통법 폐지 결정 이후에 특별히 지원금을 늘리진 않았다고 선을 그었다. 한 통신업계 관계자는 “일부 대형 유통업체들이 한두 판매점을 통해 리베이트를 많이 지급한 것으로 보인다”며 “규제 가이드라인이 명확하지 않은 상황을 틈타 고객 유치에 나서는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지속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지난달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단통법 폐지안은 이동통신 단말기 공시지원금 제도와 추가지원금 상한을 없애고, 선택약정할인 제도는 전기통신사업법에 이관해 유지하는 내용이다. 통신사 간 지원금 경쟁을 활성화해 소비자들의 단말기 구입과 이용 부담을 낮추겠다는 취지다.
하지만 통신업계는 단통법 폐지 이후에도 보조금 경쟁이 일부 판매점을 넘어 시장 전반으로 확산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5G 보급률이 70%를 웃돌 정도로 시장이 성숙기에 접어든 데다, 최근 단말기 성능이 높아지면서 교체 주기도 늘어났기 때문이다.
10여년 전 단통법이 만들어질 때는 4G LTE 시장이 커지던 상황인 데다 후발주자인 LG유플러스가 공세적으로 가입자 유치에 나서면서 경쟁이 불붙었다. 삼성전자, 애플 외에도 LG전자, 팬택 등 단말기 제조사도 지금보다 다양했다.
통신사들도 성장이 정체한 통신업 대신 인공지능(AI)으로 사업 방향을 틀고 있다. SK텔레콤은 AI 데이터센터·클라우드 사업을 미래 먹거리로 점찍고 전사적 역량을 쏟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MS)와 파트너십을 맺은 KT는 향후 2조4000억원 규모의 투자에 나서겠다고 밝혔으며, LG유플러스 역시 AI 분야에 2028년까지 2조~3조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통신사들이 AI 사업 투자를 확대하는 상황에서 소모적인 출혈 경쟁에 나설 유인이 적은 것이다. 또 다른 통신업계 관계자는 “단통법 폐지 전에도 일부 ‘성지점’이 스폿성으로 보조금을 지급하는 사례들은 있었다”면서 “일부 사례를 전반적인 현상으로 보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배문규 기자 sobbell@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