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324회, 이재명 103회
경제 78회, 취임 앞둔 '트럼프' 5회
윤석열·계엄 언급은 수십 차례 그쳐
반성·쇄신·혁신 다 합쳐도 11회 불과
권영세(오른쪽)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가 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대화하고 있다.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12·3 불법계엄 여파로 직전 지도부가 사퇴하며 들어선 국민의힘 새 지도부 회의에서 경제나 외교 같은 국가적 과제보다, 더불어민주당과 이재명 대표 등 야권을 향한 견제 발언 빈도가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외교 위기를 부른 불법계엄에 대한 당 차원의 반성과 쇄신 목소리는 희미했다. 국민의힘이 집권 여당의 책임을 외면하고 윤석열 대통령 엄호에 힘쓰는 '방탄 정당'이 되고 있다는 당 일각의 우려가 수치로 확인됐다.
민주당 324회, 이재명 103회... 野 때리기 골몰
7일 한국일보가 지난해 12월 30일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 취임 이후 열린 3차례 비상대책위 회의와, 같은 달 12일 권성동 원내대표 취임 후 개최된 6차례 원내대책회의 공개 발언을 전수 분석해 현안 관련 주요 키워드가 언급된 횟수를 집계한 결과 야당을 향한 언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키워드 가운데 '민주당'('야당' 포함)을 언급한 횟수가 324회로 가장 많았고 '이재명'도 103번이나 언급됐다. 계엄 정국에 책임이 큰 여당 지도부 회의가 주로 야당 견제 발언으로 채워진 것이다. 가령 권 비대위원장은 지난 6일 회의에서 "민주당은 이재명 대표의 선거법 위반 2심 판결 전에 조기 대선을 치르겠다는 목표하에 정부와 여당에 일방적인 내란 프레임을 씌우고 있다"고 발언했다. 권 원내대표는 7일 회의에서 "이재명 대표는 죄수의 길을 걸어온 사람이 왕이 되려고 공동체 질서를 파괴하고 있다"고 비난을 퍼부었다.
반면 전두환 신군부 이후 45년 만에 계엄 정국을 초래한 장본인인 윤 대통령에 대해서는 비교적 말을 아꼈다. 회의에서 '윤석열'('윤 대통령' 포함)을 언급한 횟수는 27회밖에 안 됐고 '계엄'도 61회 거론되는 데 그쳤다. '내란' 언급은 103회로 이보다 많았다. 그러나 대부분 윤 대통령을 방어하는 맥락에서 나왔다. "공수처는 내란죄 수사권이 없다"(3일 권 원내대표), "이재명 민주당이 '내란 사기 탄핵'을 자백했다"(6일 최형두 비대위원) 등의 발언이 대표적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3일 밤 비상계엄을 선포한 가운데 계엄군이 4일 새벽 서울 국회의사당 본청 안으로 진입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정 공백 우려에도 경제 78회, '트럼프' 5회 그쳐
불법계엄이 대외 신인도를 추락시키며 경제와 외교 불확실성이 커졌지만 관련 언급은 야당 견제에 견주면 드물었다. ‘경제’ 언급 횟수는 78회였고, ‘민생’은 58회 언급됐다. 원·달러 환율이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지만 ‘환율’ 언급은 불과 8회에 그쳤다. 제주항공 참사와 관련한 언급은 항공 13회, 여객기 11회, 공항 5회 등으로 집계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자 취임을 앞두고 계엄이 자초한 국내 리더십 공백 우려가 커지고 있다. 그럼에도 여당은 ‘외교’를 10회 언급했고, ‘트럼프’는 5회 거론하는 데 그쳤다. ‘북한’, ‘안보’ 언급도 각각 11회, 9회에 머물렀다. 야당 공격에 비하면 미미했다.
국민의힘이 가장 많이 쓴 단어. 그래픽=신동준 |
반성·쇄신·혁신 다 합쳐도 11회...2회는 야당에 반성 요구
이 같은 당 분위기를 두고 한 비영남권 재선 의원은 "'계엄은 잘못됐다'면서도 윤 대통령을 엄호하며 노골적으로 우경화하는 모습을 보면 당이 어디까지 추락할지 모르겠다"고 걱정했다. 하지만 이런 자성 목소리는 지도부에서는 들어보기 어렵다. 지도부 발언에서 ‘반성’은 6회(이 중 2회는 민주당에 반성 요구), ‘쇄신’은 3회, ‘혁신’은 2회 거론되는 데 그쳤다. 권 비대위원장은 취임 직후인 지난 2일 회의에서 "당을 화합하고 쇄신해 나가겠다"고 했지만 여전히 뚜렷한 쇄신 계획은 나오지 않았다.
이성택 기자 highnoon@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