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출신 오카와라 사키씨 4일 제주 방문
연합뉴스는 4일 오후 제주시 한경면 종합복지회관에서 민변(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투기 헌법소원 변호단과 탈법률가 모임 해바라기, 그린피스 관계자 주최로 열린 '제주해녀와 후쿠시마 할머니들의 만남' 행사가 개최됐다고 보도했다.
4일 제주시 한경면 종합복지회관에서 '바다를 잇는 마음, 제주 해녀와 후쿠시마 할머니의 만남' 행사가 열렸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날 후쿠시마현에 사는 할머니 활동가 스즈키 마리씨와 오가와라 사키씨 등이 이곳을 찾았다. 오가와라씨는 2011년 동일본대지진 당시 폭발사고가 일어난 후쿠시마 도쿄전력 원전에서 45㎞ 떨어진 미하루마치에 거주지가 있다.
그는 “1986년 체르노빌 원전 폭발사고 당시에 아들에게 모유 수유를 했다. 사고 지점과 8000㎞ 이상 떨어진 일본의 수유 여성들의 모유에서 방사능이 검출됐고, 이때 방사능의 오염성에 눈을 떠 지금까지 반핵운동을 하고 있다”고 했다.
스즈키는 “제가 사는 고향은 이미 오염돼 방사능 때문에 많은 이들이 불안을 안고 살고 있다”며 “여러분과 미래를 위해 어떻게 할 수 있을지 함께 논의하고 또 배우러 왔다”고 말했다.
4일 오후 제주시 한경면 종합복지회관에서 '바다를 잇는 마음, 제주 해녀와 후쿠시마 할머니의 만남' 행사가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오가와라와 스즈키는 지난해 10월 공개된 애플tv플러스의 다큐멘터리 '마지막 해녀들'을 보고 제주 해녀들의 사정을 알게 됐다고 했다. '마지막 해녀들'은 기후변화와 해양 오염으로 삶의 터전을 잃어가는 해녀들의 이야기를 담은 영화다.
민변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투기 헌법소원 변호단은 각계의 시민 4만여명을 대신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를 방기한 한국 정부에 책임을 묻는 헌법소원을 진행하고 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