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이슈 한반도 덮친 미세먼지

“초미세먼지는 어떻게 이 질환을 일으키나”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연세대 원주의과대학 이진희 교수(사진 왼쪽)·차승규 교수 연구팀. 원주연세의료원 제공


초미세먼지가 우울증 등 정신건강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원주연세의료원은 10일 “연세대 원주의과대학 이진희 교수(정신건강의학교실)·차승규 교수(생리학교실·글로벌의생명학과) 연구팀이 초미세먼지가 우울증을 유발할 가능성을 시사하는 연구결과를 국제 과학기술논문 인용색인 확장판(SCIE)급 학술지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초미세먼지 노출이 뇌의 특정 부위(시상하부)에 산화스트레스와 소포체스트레스를 유발해 우울증과 유사한 행동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을 실험을 통해 규명했다.



사실 규명을 위해 연구팀은 실험동물이 4주간 초미세먼지를 흡입하도록 한 뒤 우울증과 연관된 행동 변화를 관찰했다. 행동실험 결과 무기력함과 동기 부족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우울증을 진단하는 대표적인 행동지표다. 또 뇌 조직 분석결과 시상하부에서 산화스트레스와 소포체스트레스가 유의미하게 증가했다.



특히 도파민 생합성의 핵심 효소인 티로신 수산화효소의 발현이 감소했으며, 이는 도파민 신경회로 기능 저하로 이어질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도파민은 행복과 동기부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경전달물질로 이 물질 감소로 우울증과의 연관성을 설명할 수 있다.



연구팀은 앞선 연구를 통해 초미세먼지 노출이 신경세포 안 활성산소와 미토콘드리아 기능 이상을 초래해 신경세포 사멸을 유도한다는 기전을 규명한 바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초미세먼지가 뇌의 특정 부위인 시상하부에서 도파민 신경회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신경퇴행성 변화뿐 아니라 우울증과 같은 정신질환 유발 가능성까지 제시했다.



연구팀은 앞으로 미세먼지와 정신질환 사이의 연관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연구해 대기오염이 유발하는 신경·정신질환 예방 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진희 교수는 “이번 연구는 초미세먼지가 신경세포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는 이전 연구에 이어 도파민 신경회로에 영향을 미쳐 정신건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대기오염 노출 최소화·실내 공기질 적극 관리와 미세먼지 노출시 마스크 착용 등 보호조처를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



▶▶한겨레는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습니다 [한겨레후원]

▶▶실시간 뉴스, ‘한겨레 텔레그램 뉴스봇’과 함께!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한겨레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