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 단체, 휴학 적법성 강조하며 소송 가능성도 시사
교수들도 지지 표명…학장들은 "상당수 복귀" 주장 내놔
21일 경기도 내의 한 의과대학 도서관에 전공서적과 가운, 청진기가 놓여 있다. 2025.3.21/뉴스1 ⓒ News1 김영운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강승지 기자 = 각 대학이 정한 의대생들의 복귀 시한이 다가오자, 의료계 고심도 깊어지고 있다. 학생들 제적이 현실화하면 파업 같은 초강수를 두겠다는 각오다. 하지만 학교로 돌아오는 의대생이 많다는 의대 학장들의 발표가 이뤄지는 등 '단일대오'에 균열이 감지되는 모습이다.
21일 의료계와 대학가에 따르면 고려대와 연세대, 경북대와 의학전문대학원을 둔 차의과학대가 이날까지 의대생 복귀를 촉구하고 있다. 앞서 전국 40개 의대 총장은 이날까지 휴학계를 반려하고, 유급이나 제적 등의 사유에 학칙대로 처리하겠다고 합의한 바 있다.
이에 대해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는 전날(20일) 휴학 처리 과정에서 부당한 처우를 당한다면 소송을 비롯한 모든 수단을 강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총장의 '단일대오'에 의대생들도 나름의 '단일대오'를 이뤄 학내 갈등으로 번진 상황이었다.
대한의사협회(의협)도 학생들이 제적된다면, 앞장서서 투쟁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시위, 집회, 파업, 태업 등 여러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면서도 특정하지 않았다. 연세대 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도 학생의 일반 휴학에 불이익이 없어야 한다며 제자들을 지키겠다고 했다.
의과대학 학생들의 복귀 시한이 임박한 20일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 적막감이 감돌고 있다. 미복귀시 학칙에 따라 제적 또는 유급 등 조치가 취해질 전망이다. 이날 연세대 의대 교수들은 교육부의 ‘의대생 집단 휴학 불허 방침’을 취소하라고 촉구하며 강하게 반발했다. 2025.3.20/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제적 위험 감수 힘든 의대생 개인…복귀 사례 확인돼
그러나 의대생 개개인이 실제 제적의 위험을 감수할 수 없는 데다, 학칙상 재입학이 어렵다는 현실적 이유로 복귀 사례가 확인되는 모양새다. 의대 학장단체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는 "이날 마감하는 대학에서 상당한 학생의 복귀가 이뤄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 의대 교수도 "그동안 의대생들의 선택은 '집단행동'이라기보다 자신의 입장과 정의에 부합하는 개인의 결정들이 모인 것"이라면서 "역시 각자 최선을 선택할 것이라 본다. 다만 어떤 상황인지 충분히 검토하고 숙고한 후에 결정해야 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한편, 각 의대는 정해진 시한까지 복귀하지 않는 의대생에 대해 학칙대로 처리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특히 연세대는 전날 의대생 24학번들에 "24학번의 경우 제적 시 재입학이 절대 불가능하므로, 등록 여부를 신중하게 결정하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ksj@news1.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