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아니라 국토부가 사고조사위 구성·운영해야"
"사고 인재 가능성 커…최근 10년 전국 싱크홀 2085건"
[서울=뉴시스] 24일 오후 6시29분께 서울 강동구 명일동 대명초교사거리에서 싱크홀(땅 꺼짐 현상)이 발생했다. 소방당국 등에 따르면 싱크홀의 크기는 가로 18m, 세로 20m, 깊이 30m인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소방당국은 싱크홀 밑으로 떨어진 오토바이 탑승자 1명에 대해 구조 작업을 벌이고 있다. (그래픽=전진우 기자) 618tue@newsi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시스] 이명동 기자 =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서울 시내에서 발생한 대형 땅 꺼짐(싱크홀)과 관련해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이 사고 조사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실련은 28일 서울 강동구 명일동에서 나흘 전 발생한 땅 꺼짐 사고와 관련해 "서울시가 아닌 국토부가 즉시 사고조사위를 구성·운영하여 사고원인을 철저히 규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하안전법에 따르면 면적 4㎡ 또는 깊이 2m 이상의 지반 침하가 발생하면 국토교통부 장관은 중앙지하사고조사위원회를 구성할 수 있다"며 "서울시가 명일동 지반 침하 사고 이튿날 보도자료를 통해 국토부와 함께 사고조사위를 구성해 철저히 사고 원인을 규명하겠다고 했으나 법령상 사고조사위 구성·운영 주체는 국토부임을 명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경실련은 "정부가 주도적으로 사고원인을 규명하지 않아 수렁에 빠진 황당한 사례가 있다. 2020년 3월 18일 터널 붕괴로 인한 대규모 지반 침하가 발생한 부전∼마산 민자 철도 사례"라며 "당시 국토부는 특별한 이유 없이 건설사고조사위원회를 구성하지 않았고 오히려 붕괴 사고를 유발한 민자사업자로 하여금 주도적으로 사고원인을 조사·진행하도록 했다"고 짚었다.
[서울=뉴시스] 경실련 CI. (사진=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2025.02.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러면서 "이번 달 주민들로부터 다수의 민원이 접수되었지만 원인을 찾아내지 못했고 중대 사고가 발생해서야 턴키방식으로 발주한 서울지하철 9호선 4단계 연장 공사를 원인으로 언급하고 있을 뿐"이라고 했다.
턴키방식은 발주자가 공사 기본계획과 지침을 제공하면 입찰자가 기본설계·실시설계·시공을 담당하는 입찰 방식을 말한다.
아울러 "최근 10년간 전국에서 발생한 싱크홀은 2085건에 달한다고 한다"라면서 "정부는 조속히 사고조사위를 구성하고 사고조사위의 원인 규명을 토대로 싱크홀 예방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