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7일(현지 시간) 올트먼은 자신의 엑스(X·옛 트위터)에 “사람들이 챗GPT 이미지를 좋아해주는 것은 정말 즐겁지만 우리 GPU가 녹아내리고 있다”며 “효율성을 높이는 동안 일시적으로 요금제별로 사용 제한을 두겠다”고 밝혔다. 이용자가 몰리며 서버에 과부화가 올 정도라는 의미다. 그는 “무료 이용자들도 하루 3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며 “일시 제한 정책이 오래가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챗GPT 이미지 생성은 ‘이미지’만 학습해온 기존 그림 AI에 언어 모델 GPT-4o를 결합해 보다 정교하고 목적성에 맞는 이미지를 만들어낼 수 있다. 특히 애니메이션 화풍을 잘 살려내 많은 사용자들이 스튜디오 지브리나 심슨가족 등 유명 애니메이션 느낌의 이미지를 생성해 공유 중이다. 올트먼은 챗GPT 이미지에 대한 시장의 뜨거운 반응에 흡족해하는 모습이다. 그는 전날 “암을 치료하는 초지능을 만들기 위해 10년을 노력했는데 7.5년은 아무도 관심이 없었고 2.5년 동안은 모두에게 미움 받았다”며 “어느날 일어나보니 ‘내가 너를 꼬마 지브리 스타일로 만들었다’는 메시지가 수 백 개 도착해 있었다”고 적었다. 또 자신의 엑스 프로필 사진을 ‘지브리풍’ 이미지로 교체하기도 했다.
앞서 오픈AI와 올트먼은 음성 AI 공개 때도 비슷한 논란을 촉발했다. 당시 챗GPT의 음성이 AI와 연애를 담은 영화 ‘그녀(Her)’에서 목소리 연기를 맡은 배우 스칼렛 요한슨과 유사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올트먼도 당시 엑스에 ‘그녀’라고 적으며 영화와 요한슨을 의식하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직후 요한슨이 오픈AI의 음성 사용 제안을 거절했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요한슨이 소송을 준비하자 오픈AI는 음성 교체로 사태를 무마했다.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