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구미 농부 이승민(47)씨가 4000ℓ 물을 100m까지 분사하는 대형 광역살포기로 경북 의성 안사면 민가로 번지는 산불을 끄고 있다. 사진 이승민씨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예사롭지 않은 바람, 활활 타는 마을을 보고 가만히 있을 순 없었다.”
경북 산불 현장에 초대형 농약살포기가 나타났다. 경북 구미 옥성면에서 16만㎡(5만여평) 규모의 복합 영농을 하는 승민농장 대표 이승민(47)씨 소유 장비다. 이씨는 28일 오전 세계유네스코 문화유산인 안동 도산서원 앞에서 “당근 밭 비닐이 강풍에 날리는 걸 보고 예삿일이 아니구나 싶었다. 산불이 삽시간에 번지더라도 광역살포기로 물을 뿌리면 조금은 지연을 시킬 수 있을 거란 생각에 나왔다”고 말했다.
산불 진화에 사용한 광역살포기는 본래 농약을 살포하는 농기계다. 하지만 농약 대신 소방수를 뿌리면 민가 주변으로 번진 산불을 잡을 수 있을 거란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 지난 26일 의성 안사면에 도착한 그의 눈앞엔 녹아내린 승용차와 검게 그을린 면사무소 뒷산이 보였다. 4000L 물을 최대 100m 밖까지 분무할 수 있어 민가 근처로 번진 산불을 집중적으로 껐다. 붉은 화염이 살아있는 마을을 찾아다니며 광역살포기를 가동해 소방수를 뿌리고, 채우기를 반복했다.
산불 진압을 도우러 나온 이승민 대표와 변호진 금용 창업자의 차량이 28일 경북 안동시 도산서원 주차장에 주차돼 있다. 서지원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경북 산불 확산에 따른 피해를 막기 위해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도산서원 인근 수목을 잘라낸 모습. 사진 도산서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씨 요청을 받은 경북 고령군 소재 다목적 방제기 업체 ㈜금용도 장비 2대를 의성군 안평면과 안동시 길안면에 보냈다. 길안면 만음리에선 산불이 띠를 이뤄 민가로 내려오는 급박한 상황에도 강력한 수압으로 소방수를 뿌려 큰 피해를 막았다. 장비를 끌고 온 금용 창업자 변호진(65)씨는 “37년째 방제 기계 개발 업체를 운영하면서 작은 트럭에도 4000L를 담아 150m 높이까지 쏠 수 있는 방제기를 개발해 특허를 받았다”며 “산불진화대에 미약하지만 도움을 주고 싶다. 이승민 대표에게 감명받아 나왔다”고 했다.
28일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도산서원에서 소방 관계자들이 산불에 대비해 장비를 확인하고 있다. 서지원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도규태 도산서원 관리사무소장은 “퇴계 이황 선생의 유품을 한국국학진흥원 수장고로 옮기고 서원 자체가 세계유산인 만큼 화재가 번지지 않도록 벌목 작업을 하고 주변에 물을 뿌려 만반의 준비를 다 했다”고 말했다. 이동신 도산서원 별유사는 “서원을 지키겠다는 선한 마음으로 멀리서 찾아와 주신 농민들께 진심으로 감사하다”고 말했다.
이씨와 변씨는 안동 산불현장 통합지휘본부를 들렀다가 실시간 산불정보를 확인하며 의성군 안계면, 비안면으로 향했다. 이씨는 “농번기지만, 합심해 산불을 끄는 게 먼저”라며 “세종에서도 1만L 살수차가 오고 있어 광역살포기와 방제기, 살수차가 함께 움직이면서 마지막 불씨까지 끄겠다”고 말했다.
안동=손성배·서지원 기자 son.sungbae@joongang.co.kr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