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서울의 한 의과대학 앞으로 시민들이 오가고 있다.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부가 제시한 의대생 복귀 데드라인(31일)을 앞두고 대학들의 막판 설득전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서울대·고려대·연세대에 이어 울산대·성균관대 학생들도 올 1학기에 등록하기로 했다. 다만 인하대 등 일부 학교 의대생들은 미등록 휴학 투쟁을 이어가겠다는 결정을 내린 것으로 확인됐다.
28일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대는 총 698명이 전날(27일) 등록을 마쳤다. 군 휴학자들을 제외한 전원이 복귀했다. 이날 서울대 의대 전공과목들 상당수는 수강 신청한 학생들로 수업 정원(TO)을 많이 채웠다. 연세대도 1명을 제외하고 모든 학생이 등록한 것으로 확인됐다. 최재영 의대 학장은 이날 교수들에게 보낸 글에서 “오후 5시 등록 마감 결과 1명을 제외한 모든 학생이 복학 신청과 등록을 완료했다”며 “오늘 우리 대학에선 1명의 제적 학생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성균관대 의대생들도 이날 자체 투표를 거쳐 과반수가 복귀 의견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등록 신청 마감 시한인 이날 자정까지 전원 복학 신청을 하기로 결정했다. 앞서 성대는 학생들의 복학 문의가 급증함에 따라 오후 5시였던 마감 시간을 자정까지로 연장했다. 학교 관계자는 "오후 10시 기준 등록률이 92%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울산대 의대생들도 전원 복귀하기로 했다. 이날 울산대 관계자는 “복학하지 않은 의대생에게 제적 예정 통보서를 보내기로 했으나, 학생 전원이 복학할 의사를 밝혀 통보서 발송을 보류했다”고 밝혔다.
가톨릭대 등도 예상보다 많은 학생이 등록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 사직 전공의는 "특히 24학번의 등록률이 높은 편인데, 다른 학번과 달리 이번에 제적되면 재입학이 불가능하다는 점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미 마감일이 지난 의대들은 가급적 복학 신청을 받겠단 입장이다. 수도권의 한 의대 관계자는 "상당수 의대가 '31일까지 돌아오겠다는 학생들은 받아주자'는 생각일 것"이라고 전했다. 상대적으로 등록률이 낮은 비수도권 의대는 온라인 학생 공청회 등을 열며 학생 설득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날 마감하는 조선대는 전날 의대 학장 주재로 학생 간담회를 개최했으며, 원광대도 이날 오후 학년별 온라인 간담회를 열었다.
김성근 대한의사협회 대변인이 28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의대생의 복귀 움직임을 겨냥해 이날 박단 대한의사협회 부회장(대한전공의협의회 비대위원장)은 페이스북을 통해 "아직 주저앉을 때가 아니다"고 주장했다. 그는 "상대의 칼끝은 내 목을 겨누고 있는데, 팔 한 짝 내놓을 각오도 없이 뭘 하겠다고. 등록 후 수업 거부를 하면 제적에서 자유로운 건 맞나"라며 미등록 휴학을 유지하자고 호소했다.
전국 의대 총장들의 모임인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는 이날 간담회를 열고 "의협에서도 학생들이 학교로 돌아가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내줄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의협은 정례 브리핑에서 "학생들이 독립적 판단을 내리는 주체로서 결정할 것으로 믿는다. 그들이 내린 결정은 어떤 결정이든 존중돼야 한다"는 원론적 입장만 반복했다.
이후연·채혜선 기자 lee.hooyeon@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