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와 연세대 의대가 미등록 휴학에서 서울대 의대 학생회가 모든 의대생의 등록을 결정한 데에 이어 연세대 의대 비상시국대응위원회도 미등록 휴학에서 등록 후 휴학으로 대응 지침을 바꾼 가운데, 28일 서울의 한 의과대학 앞으로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발해 동맹 휴학했던 서울대·연세대·고려대 등을 중심으로 의대생들의 복귀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각 대학이 이달 말로 설정한 복귀 시한이 다가오면서 제적 위기에 몰렸기 때문이다. 28일 기준 서울대·연세대·울산대가 사실상 전원 복귀 의사를 밝혔고, 고려대도 80% 이상 복귀하기로 하면서, 1년 넘게 이어져 온 의정 갈등이 큰 고비를 넘어가는 분위기다.
그런데 누구보다 후배인 의대생을 보호해야 할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 집행부와 대한의사협희는 강경 투쟁을 고수하며, 등록 거부를 부추기고 있다. 의대협 집행부는 27일 “(서울대와 연세대를 제외한) 38개 단위는 미등록을 유지하고 있다”고 복귀 움직임을 축소하며, 복귀 의사를 밝힌 일부 대학에 미등록 휴학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고 한다.
의협은 28일 “의대생의 판단·결정은 존중돼야 한다”는 원론적 반응만 내놓았다. 내부에서 제기된 정부와 대학을 향한 제적 시한 연장 요청도 없었다. 더구나 박단 의협 부회장은 “팔 한 짝 내놓을 각오도 없이 뭘 하겠다고”라며 복귀를 택한 후배들에게 불쾌한 기색까지 드러냈다. 사실상 미등록 휴학(수업 거부)을 고수하라는 압박과 다름없다.
의협의 주요 구성원인 개원의들은 의정 갈등 국면에서 대학병원 환자 유입으로 반사 이익을 얻었다. 전공의들도 전문의 자격은 얻지 못했으나 재취업 길은 열려 있다. 반면 아직 의사가 아닌 의대생들은 의사로서 자신의 미래를 내놓고 의정 갈등의 전면에 나서며 1년을 소모했다. 의협 내부에서조차 “제적 위기의 의대생을 도와줄 대책이 없다면 ‘이제 그만하고 돌아가라’고 격려하는 게 어른의 도리”라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