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현지시간) 강진으로 인해 피해를 입은 미얀마 만달레이의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외교부는 30일 "미얀마와 태국의 관련 당국과 한인 사회 등을 통해 한국인 피해 여부를 파악하고 있다"며 "현재까지 접수된 우리 국민 인명 피해는 없다"고 설명했다. 미얀마에는 교민 2000여명이 거주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최대 도시 양곤에 1700여 명이 거주 중이며, 진앙과 약 33㎞ 떨어져 영사가 급파된 만달레이에 70여 명이 있다. 또 이번 지진으로 피해를 본 태국에 있는 교민은 방콕에 1만 2000여 명을 포함해 총 2만여 명이다.
전날 외교부는 미얀마에 약 30억원 규모로 인도적 지원을 제공하겠다고 발표했다. 외교부는 "미얀마에서 발생한 지진 피해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지원하기 위해 우선 국제기구를 통해 200만 달러 규모의 인도적 지원을 제공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는데 추가 지원 가능성도 열려 있다고 한다. 외교부 당국자는 "피해 상황을 긴밀히 모니터링해 필요시 추가적인 지원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각국은 구호의 손길을 내밀고 있다. 그간 미얀마 군사정권과 선을 그어온 미국과 유럽연합 등 서방도 지원 의사를 밝혔다. 해외 원조를 담당하던 미국 국제개발처(USAID)를 사실상 폐쇄했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간) "우리는 도울 것"이라고 밝혔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은 이날 엑스(X·옛 트위터)에 "더 많은 지원을 할 준비가 됐다"고 밝혔다. 유엔(UN)도 500만 달러(73억원) 규모의 1차 긴급 지원에 나섰고 추가로 피해 규모와 인도적 지원 범위를 파악하고 있다.
미얀마는 군부 쿠데타 이후 약 4년간 내전이 이어지면서, 기반 시설과 의료 체계가 이미 붕괴된 상태다. 여기에 인터넷과 소셜미디어(SNS)까지 광범위하게 차단돼 사상자 수색과 피해 복구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29일(현지시간) 강진으로 인해 붕괴된 미얀마 만달레이의 스카이 빌라 콘도미니엄. 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편 다음달 3~4일 벨기에 브뤼셀 나토 본부에서 열리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외교장관회의에 한국이 4년 연속으로 초청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나토 관계자는 한국을 포함해 일본, 호주, 뉴질랜드 등 나토의 인도·태평양 파트너 4개국(IP4)이 초대됐다고 밝혔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의 참석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참석 시 조 장관은 북·러 군사협력에 대한 한국의 우려를 표명하고 미국, 일본 등과 양자 회담을 진행할 수 있다.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참석이 유력하며 이와야 다케시(岩屋毅) 외상도 참석을 검토 중이다.
박현주 기자 park.hyunju@joongang.co.kr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