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청, 선조 우수 발명 15점 선정 명예특허 심사에 착수
발명의날 60周 기념식 맞춰 명예특허증·특별전시 등 추진
2 세계 최초의 우량계로 알려진 측우기는 일정 크기의 석대(측우대) 위에 원통형 우량측정 기구가 설치된 기구이다. 측우기는 당시 기술수준으로 혁신적이고, 농업측면에서 유용한 발명이라고 할 수 있을까?
전쟁기념관에 전시 중인 거북선. (사진=특허청 제공) |
특허청은 발명의 날 60주년을 맞아 우리 선조 발명가들을 기리고 업적을 기념하기 위해 거북선과 측우기 등 선조 우수 발명 15점을 선정, 명예 특허 등록여부 결정을 위한 심사착수에 들어갔다고 31일 밝혔다. 발명의 날(5월 19일)은 세계 최초 측우기를 발명한 날인 1441년 5월 19일을 기념하기 위해 지정된 국가기념일이다.
측우기. (사진=특허청 제공) |
특허청은 심사관·선행기술조사기관 및 국립중앙과학관 등과의 협업을 통해 65개의 발명을 추천받았다. 이 중 해당 발명의 역사적 의미, 기술의 특징 등을 검토해 15점의 선조 우수 발명을 선정했다. 선정된 발명품은 앙부일구, 거중기, 측우기, 아자방 온돌, 신기전기 화차, 자격루, 혼천시계, 풍기대, 대동여지도, 비격진천뢰, 거북선, 관상감 관천대, 연은분리법, 석빙고, 금속활자를 활용한 인쇄 방법 등이다.
선정된 선조 우수발명은 각 기술 분야별로 특허청 심사관들이 △이전에 없던 새로운 발명인지 여부(신규성) △기존 기술보다 개선되고 발전된 발명인지 여부(진보성) △실생활이나 산업현장에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산업상 이용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내달 명예 특허 등록여부가 결정될 예정이다.
김정균 특허청 산업재산정책국장은 “발명은 먼 선조 때부터 오늘날까지 언제나 우리 삶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왔다”면서 “이번 행사를 통해 역사 속 우리나라 발명 업적을 조명하고 현재와 미래의 발명 중요성을 다시 되새기는 뜻깊은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