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앞서 윤석열 전 대통령이 헌재 선고 이후에 낸 입장 저희가 조금 전에 전해 드렸는데요. 이 내용은 다시 한번 용산 대통령실 연결해서 지금 상황 알아보겠습니다.
강희연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이 조금 전 낸 입장 다시 한번 짚어볼까요?
[기자]
네, 윤 전 대통령이 조금 전 탄핵 선고 2시간 반 정도 지나서 법률대리인단을 통해서 입장을 냈습니다.
지지해 주고 응원해 준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린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안타깝고 죄송하다"며 "사랑하는 대한민국과 국민 여러분을 위해 늘 기도하겠다"고 짧은 메시지를 남겼습니다.
다만 입장문엔 선고 결과에 대해 승복하겠다는 입장은 담기지 않았습니다.
이런 가운데 오전 11시 40분쯤엔 대통령실 청사에 걸려있던 대통령을 상징하는 봉황기가
조용히 내려갔습니다.
윤 전 대통령의 공식 임기가 시작됐던 2022년 5월 10일 용산 대통령실에 처음 내걸렸던 봉황기가 3년 만에, 윤 대통령 취임 1061일 만에 내려간 겁니다.
네, 이제 봉황기도 내려갔고, 전 대통령이기 때문에 사저로 가야 합니다. 그런데 바로 가지는 못할 거라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앞서 박근혜 전 대통령은 탄핵 선고 이틀 뒤 청와대를 떠난 바 있죠. 윤 전 대통령은 향후 사저에서 변호인단과 함께 앞으로 이어질 내란혐의 수사 대비에 나설 걸로 보입니다.
[앵커]
네 윤 전 대통령, 오늘(4일) 파면이 됐기 때문에 달라지는 것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 점 정리해 볼까요?
[기자]
윤 전 대통령은 파면됐지만 여전히 국가의 경호를 받습니다.
경호처는 윤 전 대통령 요청이 있을 경우 대통령 전용기와 헬리콥터, 차량 등 이동 수단을 지원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임기를 다 채운 대통령은 경호처의 경호를 최장 15년간 받을 수 있는 데 비해 파면된 대통령은 그 기간이 최장 10년으로 단축됩니다.
또 전직 대통령 기념사업에 대한 국가 예산을 지원받을 수 없고, 국립현충원에 안장될 자격도 잃게 됩니다.
[영상취재 주수영 김미란 / 영상편집 강경아]
강희연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