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달러 환율, 장중 1470원대로 다시 올라
美 상호관세에 환율 변동성 확대
금융권 "환율 추이를 지켜보며 리스크 관리에 집중"
7일 서울 외환시장에 따르면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27.9원 오른 1462.0원에 거래를 시작했다. 장 초반 1470원을 넘어서기도 했다. /남윤호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더팩트ㅣ이선영 기자] 대내외 불확실성 속 원·달러 환율이 장중 1470원대까지 치솟으며 금융권에 긴장감이 맴돌고 있다. 국내 정치 불안이 해소되면서 환율 리스크가 일부 완화됐으나 미국발 관세전쟁 우려에 원화 약세가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환율 변동이 금융지주의 밸류업(기업 가치 제고) 계획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는 가운데 금융권에선 환율 추이를 지켜보며 리스크 관리에 집중할 계획이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완화됐으나 관세전쟁 우려 등에 따라 한동안 강달러 현상이 지속될 전망이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다시 1460원을 돌파했다. 서울 외환시장에 따르면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27.9원 오른 1462.0원에 거래를 시작했다. 장 초반 1470원을 넘어서기도 했다. 지난 4일 환율은 대통령 탄핵 인용 소식이 불확실성 해소 재료로 소화되며 1430원대까지 하락했으나 하루 만에 다시 올라선 것이다.
미국 상호 관세와 조기 대선 정국에서 불확실성이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도 따른다. 이에 따라 은행권은 환율 추이를 살피며 외환손실과 건전성관리 타격 방어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전규연 하나증권 연구원은 "4월 예고된 무역 분쟁을 소화하는 과정에서 외환시장은 안전통화인 미 달러에 대한 선호도를 높일 것"이라며 "환율은 2분기까지 미 달러 강세 기조에 연동해 오름세를 유지하며 불확실성 확대 시 환율 상단은 1500원 내외로 높아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 가운데 정부와 한국은행 역시 변동성 확대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3일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에 "시장 변동성이 과도하게 확대될 경우에는 상황별 대응계획에 따라 가용한 모든 시장안정조치를 즉각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김병환 금융위원장도 이날 오전 8시 정부서울청사 금융위 대회의실에서 금융감독원장, 5대 금융지주회장, 정책금융·유관기관장, 금융협회장들이 참석한 가운데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주재했다.
환율 변동은 금융지주의 핵심 건전성 지표인 CET1(보통주자본비율)에 영향을 미친다. /더팩트 DB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금융권에선 건전성 확보가 과제로 꼽힌다. 환율 변동은 금융지주의 핵심 건전성 지표인 CET1(보통주자본비율)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원화 가치가 하락하면 금융사가 보유한 외화 대출 등의 원화 환산 가치가 상승하면서 위험가중자산(RWA)이 증가해 CET1이 하락하는 구조다.
고환율은 금융지주사들의 밸류업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금융지주사가 CET1을 기반으로 밸류업 계획을 이행하고 있어서다. 금융지주들은 CET1 비율 13%를 기준으로 주주환원에 나서고 있다. 금융당국은 은행들에게 최소 12% 이상의 CET1 비율을 유지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국내 은행 및 은행지주의 평균 CET1 비율은 13.07%로, 전분기 말 대비 0.26%포인트 내렸다.
금융권에서는 환율이 10원 오를 때마다 5대 금융지주의 CET1 비율이 0.01~0.03%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추산한다.
외환 손실로 인한 쇼크도 방어에도 나서야 한다. 지난해 상반기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 3864억원 규모 외환거래 누적 손실을 기록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은행권은 환율 추이를 살피며 외환손실과 건전성관리 타격 방어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하나금융 관계자는 "수출입 기업 등 산업전반에 걸친 기업대출 부실위험 증가에 따라, 당행은 위험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는 이차전지 산업 등을 신용점검 및 감리해 중점관리업종에 편입하는 등 은행 포트폴리오 정책에 반영해 여신집중도를 완화하고 있다"며 "또한 잠재부실 영역 조기 선정·관리 및 연체관리 강화를 통한 자산 건전성 관리에 만전을 기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은 일부 해소됐으나, 상호관세에 따른 환율 변동성 확대 우려에 따라 환율, 증시가 크게 변동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에 따른 추가적인 내부 이슈 여부에 대한 검토와 함께 면밀한 모니터링을 지속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seonyeong@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