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당 소주·맥주값 연속 하락세
불황에 저가형 포차도 '인기'
일반 식당도 발맞춰 술값 할인
서울 서초구 하나로마트 양재점에 주류 판매대에 소주가 진열돼 있다. 강진형 기자aymsdrea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3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주(외식) 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 대비 1.3% 떨어져 지난해 9월(-0.6%) 이후 7개월 연속 하락했다. 맥주(외식) 물가 등락률도 -0.7%였다. 맥주(외식) 역시 지난해 12월(-0.5%)부터 4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이는 셈이다.
소주(외식)와 맥주(외식) 품목은 일반 음식점에서 판매하는 주류 가격을 반영한다. 소주(외식) 물가가 전년 동월 대비 하락한 것은 관련 통계를 집계한 2000년 1월 이후 2005년 7월(-0.8%) 단 한 번뿐이었고, 맥주(외식) 물가가 마이너스를 보인 것도 1999년 7~11월 이후 약 26년 만이다
이들의 '역주행'은 다른 품목과 비교했을 때 더욱 독특하다. 외식 물가 상승률은 2021년 6월부터 46개월째 전체 물가 상승률을 웃돌고 있다. 콜라나 사이다 같은 음료 품목을 보여주는 기타 음료(외식) 물가는 지난달 1.3% 올랐고, 소주·맥주와 같은 주류인 막걸리(외식) 물가도 2.5% 올랐다.
'불황형 술집'으로 꼽히는 저가형 포차들도 인기를 끌고 있다. 맥주 한 잔에 1900원, 닭 날개 한 조각에 900원 등 저렴한 가격을 내세워 인기를 끈 한 포차형 술집은 2023년 말 영업을 시작해 최근 180곳 넘게 지점이 생겼다. 소주·맥주 2000원을 내세운 한 고깃집 프랜차이즈도 최근 220곳 넘게 문을 열며 1년여 만에 지점이 두 배 넘게 늘었다. 이들이 인기를 끌자 주변 식당들도 '울며 겨자 먹기'로 함께 술값을 내리는 경우가 생겨 소주·맥주값 할인 현상이 광범위하게 일어나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