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30 (토)

이슈 고령사회로 접어든 대한민국

파열된 서울 상수도관 2곳, 노후 탓 아니다···“기온 변화 대비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13일 파열된 서울 서대문구 홍제동 일대 상수도관. 연합뉴스


서울에서 최근 상수도관 두곳이 파열돼 주민들이 불편을 겪었다. 두곳 모두 불과 몇 년 전 교체공사를 마친 상수도관이다. 서울시는 최근 한파와 봄날씨를 오가는 급격한 기후 변화를 주요 원인으로 보고 겨울철 상수도관 점검을 강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지난 13일에는 서대문구 홍제동에서, 14일에는 성동구 왕십리역 부근에서 상수도관이 파열됐다. 각각 지난해 4월과 2019년 12월 부설돼 노후화와는 거리가 멀다. 왕십리역 상수도관은 당초 경전철 동북선 공사 과정에서 발생한 충격으로 파열됐다고 알려졌지만 서울시는 공사 장비와 충돌은 없었던 것으로 확인했다.

서울시는 잇단 상수도관 파열 원인으로 급격한 겨울철 기온 변화를 꼽고 있다. 서울 지역의 경우 지난달까지 한파특보가 내려지는 등 강추위가 이어지다가 이달 들어 10일부터 기온이 갑자기 올랐다. 상수도관이 기온 변화에 따라 수축과 이완을 거듭하면서 관과 관 사이를 연결하는 접합부가 느슨해져 누수가 발생했다는 것이 서울시의 설명이다. 상수도관 누수는 겨울철에 더 자주 발생한다.

홍제동 상수도관의 경우 관 내부의 높은 수압도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 서울시 관계자는 “통상 서울의 상수도는 ㎠당 4~5㎏의 압력으로 수압을 관리하는데, 홍제동은 산악 지형으로 인해 ㎠당 압력이 10㎏ 이상”이라고 말했다. 수도를 더 높은 압력으로 보내야 경사면 위쪽까지 올라갈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수압이 상수도관을 충격하는 힘이 온도의 영향과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수 있다”고 했다.

왕십리 상수도관은 기온 변화와 함께 동북선 경전철 공사의 영향까지 직·간접적으로 받았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서울시에 따르면 누수가 발생한 곳은 동북선도시철도 공사를 위해 기존 상수도관이 이설된 부위의 인접 구간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공사 장비 등) 외부 충격은 없었다”면서도 “공사 인접 구간인 만큼 원인을 더 자세히 조사하고 누수가 발생한 곳 주변에 다른 영향은 없는지 일대 시설점검을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이상기온 현상으로 겨울철 급격한 기온 변화가 잦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시설 점검 주기를 단축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현행 수도법은 수도사업자가 5년마다 수도시설 기술진단을 해야 한다고 정하고 있다. 지반침하(싱크홀)를 방지하기 위해 2015년 제정된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지하안전법)도 국토교통부 장관이 5년마다 지하안전관리 기본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명시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10년 전에 비해 누수 건수가 감소했다”면서도 “점검 주기를 재정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연구원에 따르면 2014년 연간 9413건이던 서울 내 상수도 누수 사고는 2019년 8632건으로 감소했다.

유연식 서울시 상수도본부장은 “기후변화로 인해 상수도 인프라가 취약해지는 징후를 계속해서 점검하고 겨울철 해빙기 점검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서울에는 현재 1만3000㎞가 넘는 상수도관이 매설돼 있다. 서울시는 지난해 4월 상수도관 3073㎞를 2040년까지 단계적으로 교체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유경선 기자 lightsun@kyunghyang.com

▶ 플랫이 선정한 2022년 올해의 여성은 누구일까요?
▶ 이태원 참사 책임자들 10시간 동안의 타임라인 공개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