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겨지고 접혀도 망가지지 않는 기판
연구 이미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포항=뉴시스]안병철 기자 = 한·미 공동 연구팀이 망가지지 않고 고열에 견디는 폴더블(접이식) 기판을 개발해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포스텍 신소재공학과 정운룡 교수와 공민식 박사 연구팀이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NCSU) 화학·생체 분자 공학부 마이클 디키 교수, 만 호우 봉 박사과정생 연구팀과의 연구를 통해 스크래치에 강한 나노 두께의 폴더블 투명 전극과 회로를 제작했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노트북 등 전자기기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인 금속 원소와 산소의 결합으로 형성된 '금속 산화물 박막'은 특성 제어를 통해 부도체-반도체-도체 간 변환이 가능하고 투명성과 내구성, 유연성이 뛰어나 웨어러블·폴더블 기기에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 기술을 이용해 갈륨 산화막 내부에 금 도는 구리를 증착해 전도성을 부여하는 데 성공했고 이를 바탕으로 800℃ 고온에서 안정적이고, 구겨지거나 완전히 접어도 망가지지 않을 정도로 기계적 안정성이 우수한, 나노 두께(<10nm)의 폴더블 투명 회로를 완벽하게 구현했다.
연구진(포스텍 정운룡 교수, 공민식 박사, 마이클 디키 교수, 만 호우 봉 박사과정생)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공민식 박사는 "비정질 상태의 자연 금속 산화막은 기계적·전기적 성능이 독특해 앞으로 다양한 추가 연구가 기대되고, 여러 분야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포항 방사광가속기를 이용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abc1571@newsis.com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