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체협약 교섭 결렬 선언·노동위 조정 신청한 카카오 노조 “사측, 쇄신 요구에 미응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4일 정보기술(IT)업계에 따르면 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동조합 카카오지회(카카오 노조·크루유니언)는 지난달 29일 사측에 교섭 결렬 공문을 발송하고, 사내 게시판에 결렬 선언문을 게시한 데 이어 전날 경기지방노동위원회에 조정 신청을 했다.
노조는 결렬 선언문을 통해 지난 1년간 지속된 사측의 경영쇄신 과정을 비판했다. 지난해 카카오는 ‘SM엔터테인먼트 주가 시세조종 의혹’으로 경영진 사법리스크가 격화하면서 그해 연말부터 내외부 조직을 재편하고, 정신아 카카오 대표를 단독 내정자로 발탁하는 등 본격적인 쇄신에 들어갔다.
하지만 노조는 회사가 경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쇄신을 본격화하면서도 노조의 쇄신 요구를 거부하는 이중적인 모습을 보인다고 주장했다. 단체협약으로 제출된 노조의 쇄신 요구사항을 논의 불가로 통보했고, 쇄신과제가 일부 완료된 것처럼 알리며 사실을 왜곡하고 있다는 것이다.
노조는 “참고 기다렸던 쇄신 결과는 오히려 구조조정과 매각위험으로 돌아왔다”며 “구조조정을 우려하는 크루(직원)들이 걱정된다면 회사 경영권이니 논의할 수 없다가 아니라, 고용안정과 관련해 최소한 협의 절차라도 만들었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에 앞서 노조는 상장 직후 ‘먹튀’ 논란을 일으킨 류영준 전 카카오페이 대표와 경영 부실로 전체 구성원 절반에 대한 구조조정을 추진한 백상엽 전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대표에게 고문 계약을 통해 고액의 자문료를 지급해 온 것에 대해서도 중단을 촉구한 바 있다.
경영쇄신위원회는 김범수 창업자가 위원장을 맡았지만 지난 7월 김 창업자가 구속된 데 따라 쇄신 동력이 꺾였다는 우려가 나왔다. 출범 9개월 차인 준신위 경우, 카카오를 견제하는 독립 기구로서 영향력이 다소 약하다는 아쉬움을 받고 있다.
그러나 카카오는 준신위 권고에 대한 이행방안을 수립하지 않은 채 정규돈 전 CTO를 카카오 CTO에 임명했다. 준신위가 경영진 평판리스크 관리 방안을 수립해 수주 내로 제출하라며 간접적인 제동을 건 지 불과 2주 만이었다.
한편 카카오 측은 교섭 결렬에 유감을 표하며 노조 측과 소통을 지속하겠다고 전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크루유니언과 단체교섭에 성실히 임해왔으나 어려운 대내외 여건 속에 회사가 수용하기 힘든 일부 안건으로 인해 결렬된 점을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계속 노조와 대화를 이어가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