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전통문화 속의 ‘뱀’
땅을 지키는 열두 수호신 가운데 여섯 번째 뱀신. /국립민속박물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징그럽고 두렵지만 신성한 존재. 뱀은 인간에게 이중적인 동물로 묘사됐다. 허물을 벗으며 성장하는 특성 때문에 영원한 생명을 상징한다고 믿었고, 한 번에 여러 개의 알을 낳아 생명력과 풍요로움, 다산(多産)을 나타내는 동물로 여기기도 했다.
우리 속담에 ‘구멍에 든 뱀 길이를 모른다’는 말이 있다. 숨긴 재주나 재물이 얼마인지 헤아리기 어렵다는 뜻이다. 함부로 사람을 평가하지 말라는 충고이자, 뱀을 모호하고 의심스러운 존재로 그린 속담이다. ‘배중사영(杯中蛇影)’이라는 고사성어도 있다. 잔 속의 뱀 그림자, 즉 쓸데없는 우려를 낳는 공연한 의심을 가리킨다. 역시 뱀에 대한 두려움을 담은 말이다.
저승 세계에서 독사들로 가득한 '독사 지옥'. /국립민속박물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뱀은 주로 어리석은 인간을 경고하거나 벌을 주는 존재였다. 저승 세계에서 죽은 자의 죄를 심판하는 왕을 그린 불화 중에는 독사들로 가득한 ‘독사 지옥’을 그린 작품도 있다. ‘시왕도(十王圖)’ ‘게발도(揭鉢圖)’ 같은 그림에서는 뱀에게 심판받는 인간의 모습이 보인다. 우리 민속에서 뱀은 신성한 존재이기도 했다. 땅속과 땅 위를 오가는 뱀의 모습을 보며 이승과 저승의 서로 다른 두 세상을 오가는 신비로운 존재라 여겼다. 샤먼이 의례에 사용했던 숟가락, 북 손잡이, 지팡이 등에 뱀을 조각한 이유다.
스리랑카 '마하 코라 가면'. 가면에 조각된 뱀을 비롯해 악성 전염병의 악마들을 제관이 달래고 물리치는 과정이 담긴 치료의식에 사용된다. /국립민속박물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뱀은 풍요와 다산의 상징으로도 쓰였다. ‘부잣집 업 나가듯 한다’는 속담은 재물을 늘게 해준다는 ‘업구렁이’가 나간다는 뜻. 조선 세종이 편찬한 ‘용비어천가’엔 ‘뱀이 까치를 물어 나무 끝에 얹으니 성손(聖孫)이 바야흐로 일어나려 함에 기쁜 일이 먼저 있게 되었다’는 구절이 있다. 이 역시 뱀을 번영의 상징으로 쓴 경우다.
[허윤희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