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카카오, 서비스에 AI 접목 예고... 통신사도 "AI 성과 내겠다"
게티이미지뱅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자·통신·인터넷 등 정보기술(IT) 분야 기업 대표들이 2025년을 맞아 내놓은 신년사에서 하나같이 인공지능(AI)을 화두로 띄웠다. 정치적·구조적 충격 속에 내수 경기 침체가 예상되고 국제 시장 질서까지 불확실성에 빠져든 가운데 AI를 통한 경영 혁신과 새로운 사업 기회에서 성장 동력을 찾을 수 있을 거라는 기대 때문이다.
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2일 공개한 대표의 신년사를 통해 기술 혁신을 전면에 내세웠다. 삼성전자의 한종희 대표이사 부회장과 전영현 DS(디바이스솔루션)부문장 부회장은 이날 공동명의 신년사에서 "지금은 AI 기술의 변곡점을 맞이해 기존 성공 방식을 초월한 과감한 혁신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초격차 기술 리더십을 바탕으로 재도약의 기틀을 다지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해 나가자"고 강조했다.
지난해 고대역폭메모리(HBM)를 중심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낸 SK하이닉스의 곽노정 대표이사 사장은 "지난해를 넘어서는 새로운 한 해"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AI 시대의 물결 속에서 수많은 도전을 마주하게 될 것"이라며 "기술·기업문화·운영 혁신을 통해 SK하이닉스의 르네상스 여정을 이어나가길 바란다"고 각오를 다졌다.
전자 부품사도 AI에서 새로운 기회를 들여다보고 있다. 장덕현 삼성전기 사장은 "저성장과 글로벌 경쟁 심화로 경영 환경이 녹록지 않겠지만 AI와 전장(電裝·자동차 전자장치) 등 고부가 가치 시장 수요 확대 기회가 있다"고 봤다. 기업 운영에 AI를 접목하려는 시도도 이어지고 있다. 정철동 LG디스플레이 사장은 "제조·연구개발에 적용돼 온 AI 기반 디지털 전환을 일반 업무 영역까지 넓혀 업무 효율을 높일 것"이라고 밝혔다.
네이버·카카오, AI 서비스 확대 예고
2024년 11월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플랫폼의 상생협력 강화를 위한 플랫폼사 대표 간담회에 참석한 정신아(왼쪽) 카카오 대표와 최수연 네이버 대표.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내 IT 분야 대표 기업인 네이버와 카카오 역시 AI 서비스에 대한 의지를 전했다. 이날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임직원 대상 게시글을 통해 "AI를 중심으로 한 변화가 빠르게 진행돼 2025년은 새로운 패러다임의 시작점이 될 것"이라면서 "사용자와 시장에 인정받는 AI 서비스들을 내놓겠다"고 밝혔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앞서 2024년 마지막 날 임직원들에게 보낸 뉴스레터를 통해 "2025년 '온 서비스 AI'를 주제로 우리 서비스 전반에 더 큰 변화를 예정하고 있다"면서 "AI를 비롯해 새로운 기술과 환경이 가져올 변화의 속도가 더 빠를 것이므로 빠른 의사 결정과 정직함으로 네이버호를 이끌겠다"고 밝혔다.
AI로 패러다임 전환 강조한 통신3사
왼쪽 사진부터 유영상 SK텔레콤 대표, 김영섭 KT 대표, 홍범식 LG유플러스 대표. 각 사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통신3사 대표들도 지난해부터 진출을 본격화한 AI 사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은 이날 신년사를 통해 "2025년에는 우리의 AI가 실질적 매출 성장으로 이어지도록 할 것"이라면서 "궁극적으로는 기존 통신 사업의 패러다임을 AI를 통해 완전히 전환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영섭 KT 대표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의 협업을 통해 'AI 전환' 사업 분야에서 성과를 내겠다"면서 올해를 AI와 정보통신기술(ICT)을 조합한 'AICT 컴퍼니'로 도약하는 실질적 원년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홍범식 LG유플러스 사장 또한 지난해 발표한 '그로스 리딩 AX 컴퍼니'를 이룩하기 위해 고객 초집중을 통해 가치를 창출하고 AI 전환 생태계에서 구조적인 경쟁력을 확보할 것을 과제로 꼽았다.
인현우 기자 inhyw@hankookilbo.com
이윤주 기자 misslee@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