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04 (금)

이슈 통화·외환시장 이모저모

통화정책 수장 이창용 "15~20조 추경"... 규모까지 이례적 언급, 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계엄으로 악화한 성장률 보완 위한 규모
"추경 가급적 빨리 편성해야 한다"고도
금리보다 정치 불안 해소, 경제 위해 중요
"최상목 대행 두둔은 정치 아닌 경제 메시지"
한국일보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 3.0% 동결을 결정한 16일 오전 서울 중국 한은 콘퍼런스홀에서 이창용 한은 총재가 기자간담회를 열고 금리 결정 배경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5조~20조 원 규모의 추가경정(추경)예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국내 정국 불안과 미국 새 정부 출범에 따라 떨어지는 성장률을 보완할 수 있는 예산 규모를 추정한 결과값인데, 통화정책을 지휘하는 한은 총재가 추경 규모를 언급한 것은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이 총재는 16일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본회의 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작년과 달리 지금은 추경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면서 "경제성장률을 인위적으로 올리는 게 아니라 예상보다 떨어진 성장률을 보완하는 정도의 규모면 되지 않는가 본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12·3 불법계엄 사태 여파로 소비와 내수가 예상보다 더 악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지난해 4분기 기준으로 관련 통계를 보면 (계엄 여파로) 성장률이 0.4%에서 0.2%나 더 밑으로도 내려갈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특히 "올해 성장률 전망치(1.8%)가 잠재성장률(2.0%)보다 0.2%포인트 떨어진다면 이를 보완하는 규모의 추경 예산이 적절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 차이를 메우기 위해 필요한 추경 규모가 15조~20조 원 수준이라고 판단한 것이다.

이 총재는 가급적 빠른 편성도 촉구했다. 추경 편성안이 빨리 발표되면 각종 경제연구기관들이 이를 반영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상향 조정할 수 있고, 그 수치가 경제 심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그만큼 내수 부진이 우리 경제에 더 큰 위기가 되지 않도록 이른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이 이 총재의 판단이지만, 일각에서는 정부의 재정정책인 추경 편성 여부와 규모까지 이 총재가 직접 언급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국회에서는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최소 20조 원 규모의 추경 편성을 주장하고 있는 반면, 정부는 우선 1분기 예산 집행에 속도를 내겠다는 방침이라는 점에서 이 총재의 발언은 공교롭다는 얘기도 나온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옹호한 발언들이 '정치적'이라고 지적받은 것과 관련, 이 총재는 "굉장히 경제적 발언"이라고 잘라 말했다. 국내 정치가 안정화되고 있고 경제 사령탑도 흔들림 없다는 점을 대외에 보여주는 것이 "금리 몇 퍼센트 낮추는 것보다 경제 안정을 위해 중요한 메시지"라는 입장이다. 앞서 이 총재는 최 권한대행의 헌법재판관 임명 등의 결정에 대해 "대외신인도 하락과 국정공백 상황을 막기 위해 정치보다는 경제를 고려해서 어렵지만 불가피한 결정"이라며 적극 엄호한 바 있다.

비슷한 맥락에서 경제 정책이 순항할 수 있도록 여야정협의회를 정치와 경제로 분리해 운영하자는 제안도 했다. 이 총재는 "정치와 경제가 분리될 수는 없지만 최대한 독립적으로 진행해 경제가 정치와 관계없이 정상 작동한다는 걸 보여주는 게 (한은과 정부 등이) 해야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경제는 실무자들이 빠르게 협의하는 노력이 대외신인도에도 긍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진달래 기자 aza@hankookilbo.com
강유빈 기자 yubin@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