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연말까지 인명 피해 저감 위해 총력 대응"
READY Korea 2차 훈련 |
(서울=연합뉴스) 전재훈 기자 = 작년 해양사고로 인한 사망·실종자가 164명으로 전년보다 70명(74.5%)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2014년 이후 인명 피해가 가장 컸다.
해양수산부 중앙해양안전심판원은 24일 작년 한 해 해양사고 발생 건수와 피해현황을 담은 '2024년 해양사고 통계'를 통해 이처럼 밝혔다.
통계에 따르면 작년 해양사고는 총 3천255건 발생해 전년 대비 163건(5.3%) 늘었고, 이로 인한 인명피해는 전년보다 74.5% 증가했다.
해양사고로 사망하거나 실종된 164명 가운데 안전사고(84명)로 인한 인명피해가 가장 많았고, 전복(40명), 침몰(18명), 충돌(17명), 화재·폭발(2명) 등이 뒤를 이었다.
안전사고는 조업 중 그물에 걸려 바다에 추락하거나 밧줄에 가격당하는 등 안전 주의 의무를 다하지 못해 발생하는 사고를 말한다.
어선 사고 사망·실종자가 전체의 72%를 차지했다. 그다음은 비어선(40명), 수상레저기구(6명) 순이다.
어선 사고는 2천175건 일어났으며 수상레저기구 사고는 607건, 화물선 등 비어선 사고는 475건 발생했다.
어선 사고는 전년 대비 128건(6.3%) 증가했고, 수상레저기구 사고는 52건(9.4%) 늘었다. 비어선 사고는 17건(3.5%) 줄었다.
해양사고 발생 현황 |
작년에 발생한 충돌과 전복, 침몰, 화재 등 선박 주요 사고는 총 706건으로 전년 대비 34건(5.1%) 증가했다.
이중 충돌 사고가 242건으로 가장 많았고, 안전(185건), 화재·폭발(140건), 전복 95건, 침몰 44건 순으로 발생이 잦았다.
단순 사고는 전년보다 129건(5.3%) 늘어난 2천549건 발생했다.
이어 "어선사고 저감을 위해 작년 5월 마련한 '어선 안전 관리 대책'을 추진하고 있고, 강도형 해수부 장관을 단장으로 관계기관 합동 '인명피해 저감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하고 있다"며 "올해 연말까지 해양사고 인명피해 저감을 위해 총력 대응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kez@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