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치 말고 과잉치·결손치 의심해야
외과적 수술·임플란트 등 치료 필요
6세 이후 아이의 유치가 빠지기 시작하면 부모는 아이의 입안을 수시로 들여다보게 된다. 총 20개의 유치가 하나씩 빠지고 그 자리에 영구치 28개(사랑니 제외)가 천천히 올라오는 ‘이갈이 과정’은 12∼13세에 마무리된다.
유치가 빠진 자리를 영구치가 대체하는 시간은 보통 1년 이내다. 이 기간이 넘어 유치 자리가 계속 빈자리로 남아 있다면 과잉치와 결손치를 의심할 수 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방치하면 옆 치아까지 영향… ‘과잉치’
과잉치가 많이 나오는 부위는 윗니 앞쪽(상악 전치부)이다. 그다음으로 윗니 작은 어금니(상악 소구치), 아랫니 큰 어금니(하악 제4대구치) 순으로 많이 발생한다.
정영수 연세대 치과대학장은 “과잉치는 만 6세 전후에 발견해서 치료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며 “과잉치를 제거하면 75% 정도가 과잉치에 막혀 있던 인접 치아가 자연적으로 난다. 과잉치 발치 후 보통 18개월에서 3년 이내에 이뤄진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과잉치로 인해 교정이 필요한 경우 영구치가 완성된 12세 이후에 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다만 매복된 상태에서 이미 뿌리가 완성된 영구치나 치아 표면이 돌출된(결절성 중절치) 경우는 자연적으로 치아가 나오지 않을 수 있는데, 이 경우 외과적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 성인기에 임플란트로 해결… ‘결손치’
결손치로 치아가 부족하게 되면 씹는 기능이 저하돼 소화에 어려움이 생기거나, 대합치(상하 맞물리는 치아)가 원래 위치에서 벗어나면서 부정교합이 생길 수 있다. 또 인접치가 빈 곳으로 이동하면서 치열이 흐트러지고, 이로 인해 충치나 치주 질환이 발생하기도 한다.
결손치 치료는 치아 위치, 개수 등을 고려해 맞춤형으로 이뤄져야 한다.
결손치의 최종 종착지는 ‘임플란트’다. 다만 결손치 자리에 유치가 빠지지 않은 채 있다면 최대한 오랜 기간 유치를 쓰고, 이후 유치가 빠지면 임플란트를 하면 된다. 어떤 임플란트도 원래 치아보다는 좋을 수 없기 때문이다. 반면 유치가 빠진 후 빈자리로 남아 있다면 키 성장이 다 끝날 때까지 자리를 비워둬야 한다. 키 성장이 끝나야 턱뼈 성장도 끝났다고 보기 때문이다.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