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대학 의대생들이 복귀 마감 시한에 임박해 속속 돌아오면서 1년 넘게 이어진 집단휴학 사태가 마무리 국면에 들어섰다. 사진은 30일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 모습.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환자단체는 의대생 복귀를 환영하면서도 이들이 수업은 계속 거부하는 등 ‘무늬만 복귀’를 해서는 안 된다고 우려했다. 정부를 향해서는 미복귀 의대생에 대해 예고한 제적을 시행하는 등 원칙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31일 성명을 내어 “학교로 돌아온 의대생들의 용기 있는 결정에 응원과 지지를 보낸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지난 1년 이상 우리 연합회는 의대생들이 학교에 복귀하기를 간절히 바랐다”며 “의료현장을 지켜보며 노심초사하는 환자들의 아우성이 들리지 않나. 의대생들의 복귀는 국민 건강과 의료 시스템의 안정화를 위한 첫 번째 필수적인 과업”이라고 강조했다.
연합회는 복학한 의대생들이 수업은 계속 거부하는 등 ‘무늬만 복귀’를 해서는 안 된다고 우려했다. 연합회는 “일부 의대생들이 복귀 후 투쟁이라는 행태를 보일 것으로 예상돼 우려된다”며 “일부 의대생들이 일단 제적을 면하려고 들어온 뒤 수업 거부로 의학교육을 망치려 한다면 지탄받아 마땅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들 단체는 최근 의료계 일각에서 복귀한 전공의와 의대생들을 향한 공격이 이어지는 데 대해서도 우려했다. 연합회는 “그동안 전공의 집행부나 의료계 인사들은 전공의 사직과 의대생 휴학 문제는 ‘개별적 의사 표시’라며 집단행동은 개인의 표현이자 선택의 자유라고 주장해왔다”며 “학교로 돌아가려는 학생들을 겨눈 공격이야말로 표현과 선택의 자유를 저해하는 파렴치한 행동이다. 이러한 모습은 결코 우리 사회가 수용할 수 있는 태도가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연합회는 미복귀 의대생에게는 예고한 제적을 시행하는 등 원칙을 지키라고 정부에 요구했다. 연합회는 “정부는 의대생 복학 문제에 원칙 없는 태도를 보여서는 안 된다”며 “원칙대로, 학칙대로 제적을 예고했으면 그대로 시행하라”고 요구했다. 연합회는 “정부가 다른 대학생과의 형평성을 무너뜨려 가면서 원칙을 벗어난 관용을 베푼 것이 오히려 사태를 악화시켜 왔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상기하길 바란다. 더는 환자의 희생을 방조하지 말라”고 강조했다.
김윤주 기자 kyj@hani.co.kr
▶▶실시간 뉴스, ‘한겨레 텔레그램 뉴스봇’과 함께!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