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갈치구이가 인당 10만원”… 제주지사 ‘비싼 관광지’ 오명에 작심 발언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갈치구이 자료사진./조선일보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제주 관광지의 비싼 물가에 대해 소비자들의 불만이 이어지는 가운데, 오영훈 제주지사가 이미지 개선을 위한 노력을 주문했다.

오 지사는 31일 월간정책공유회의에서 “30일부터 하계 항공 스케줄이 적용됐다. 이번 주가 관광객 증가 전환의 중요한 갈림길이 될 것”이라며 “그동안 항공사와의 협력을 통해 만들어낸 결과물이 실제 관광객 증가로 이어질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제주도는 비싸다’는 인식을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 지사는 “제주 관광이 비싸다는 이유가 무엇인지 분석해보니 갈치구이가 대표적인 사례로 지적되고 있다”며 “1인당 7만원에서 10만원까지 형성된 가격 체계는 1회전 객단가(고객 1인당 평균 구매액) 중심 사고방식에서 비롯됐다”고 했다.

이어 “가격은 낮추고 회전율은 높이는 것이 더 중요하다”며 “가격 정책만의 문제가 아니라 관광객 부담을 줄이고 음식 낭비도 막는 친환경적 접근이자, 제주 관광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필수 과제”라고 했다.

오 지사는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우리가 준비하는 다양한 관광 진흥 정책과 인센티브도 실효성을 거두기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실제 제주관광공사가 발표한 ‘내국인 제주 방문 관광객 실태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3.4%는 제주 여행의 가장 큰 불만 요소로 ‘비싼 물가’를 꼽았다.

온라인에서 논란이 됐던 제주 비계 삼겹살(왼쪽)과 벚꽃 축제 노점에서 판 순대볶음./ 온라인 커뮤니티, 스레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제주의 바가지 요금이 논란이 된 적도 여러 차례 있었다. 작년 한 유튜버는 용두암 해산물 노점에서 플라스틱 용기의 절반도 안 되는 양의 전복·해삼·소라를 5만원에 팔고 있다고 폭로한 바 있다. 이전에는 식당에서 비계가 가득한 삼겹살을 팔아 ‘비계 삼겹살’ 논란이 일기도 했다.

최근에는 제주 전농로 왕벚꽃 축제를 방문한 네티즌이 “순대 6조각에 2만5000원”이라는 글을 올리며 가격 대비 양이 적다고 지적했다.

[최혜승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조선일보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