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업계, SO 산정식 토대로 시뮬레이션 실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특히, 케이블TV는 이달 중 새로운 콘텐츠 대가산정안을 확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안이 시행될 경우 향후 3년간 지상파 재송신료(CPS)를 포함한 콘텐츠 사용료는 약 1000억원 규모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방송 전반의 침체에도 뚜렷한 대책을 내놓지 못한 정부를 향해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 “SO 산정안, 콘텐츠 대가 총액 줄일 수 있도록 설계돼”
3일 PP업계가 케이블TV의 콘텐츠 대가산정안을 토대로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SK브로드밴드·LG헬로비전·딜라이브·HCN·CMB 등 MSO 5개사가 2024년부터 3년에 걸쳐 지상파와 PP에 지급하는 콘텐츠사용료의 총액은 1188억원 줄어들 것으로 추산됐다.
이번에 케이블TV 업계가 사업자들에 공유한 산정안 초안은 콘텐츠 대가 총액에 유료방송사의 매출액(기본채널수신료매출액+홈쇼핑송출수수료매출액)의 ‘증감률’을 반영한 것이 특징이다.
이 중 PP업계가 우려하는 부분은 콘텐츠 대가 총액에 붙은 ‘보정옵션’이다. 케이블TV는 이번 산정안에서 콘텐츠 대가 지급률이 다른 유료방송사의 평균보다 5% 이상 높은 사업자에 대해 콘텐츠 대가 총액을 3년간 감액해주는 조건을 신설했다.
PP업계에 따르면, 이러한 보정옵션은 사실상 모든 MSO 사업자에 적용된다. 2023년 기준 모든 MSO 사업자의 콘텐츠 대가 지급율은 유료방송플랫폼의 지급율 평균(27.5%)과 5% 이상 차이났다. 이 기간 MSO 사업자의 콘텐츠 대가 지급율은 ▲LG헬로비전 36.4% ▲SK브로드밴드(SO) 45.4% ▲딜라이브 41.4% ▲HCN 34.6% ▲CMB 34.6% 였다.
감액 규모는 ‘n+2년 목표 지급액’과 ‘전년도(n-1년) 실제 지급액’ 간 차액을 삼등분한 금액으로, 향후 3년 간(2024년~2026년) 감액분은 ▲LG헬로비전 483억원 ▲SK브로드밴드(SO) 335억원 ▲딜라이브 217억원 ▲HCN 81억원 ▲CMB 72억원 등 총 1188억원으로 추정됐다.
PP업계는 최근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KCTA)에 보낸 입장문에서도 이 같은 의견을 전달할 것으로 알려졌다. 입장문에는 “케이블TV 사업자들은 수신료 매출 하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방송 요금 인상, 매출 다변화 등) 없이, 콘텐츠 비용 절감만을 목표로 하는 대가산정안을 제시하며 콘텐츠 사업자에게 부담을 전가하고 있다”라며 “콘텐츠 사업자에게 부담을 전가하는 대가산정안을 고수하기 보다는 유료방송 시장 활성화를 위한 사업자 간 협력 방안 모색이 더 필요하다”고 적혔다.
◆ 유료방송-PP 상생 위한 대안, 누가 답할 수 있나…“정부 판단 중요한 시점”
케이블TV 측은 이러한 PP업계의 의견을 적극 수렴해, 최종안에 최대한 반영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케이블TV를 포함한 유료방송의 성장이 임계치가 도달한 만큼 개별 협상을 통해 각 사업자가 원하는 만큼의 사용료를 주긴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라는 입장이다.
이런 상황 속에 유료방송 사업자 중 매출액 대비 콘텐츠 대가 지급 비율은 케이블TV가 가장 큰 상황이다.
2021년 기준 배분비율을 살펴보면 SO의 기본채널 수신료 매출액은 5105억원으로 이 중 66.04%에 해당하는 3371억원을, IPTV는 기본채널 수신료 매출액(2조994억원) 가운데 26.17%인 5493억원을 기본채널 프로그램 사용료로 지상파를 포함한 PP에 지급하고 있다. 케이블TV가 보정옵션을 산정식에 반영한 이유다.
케이블TV 업계관계자는 "현재 SO 경영상황에서 현실적인 접근없이 원론적인 유료방송 매출증대를 통한 대가 산정금액을 보존하라는 것은 전혀 현실성이 없다”라며 “오히려 사업자 간의 협의를 통해 기준 마련의 원칙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며 양질의 콘텐츠 제공자에게는 합당한 혜택을 제공한다는 것이 원칙이라는 점은 PP업계도 동의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업계에 정통한 한 전문가는 “현재 시장은 개인 간 거래가 아닌, 집단 간 거래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라며 “이번 거래 기준은 전체 산업의 기준이 처음으로 정해지는 사례인 만큼, 제작자·플랫폼·이용자 등 산업 전반에 미칠 영향을 고려해 정부가 개입해 그 적정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