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5세대 이동통신

AR갤러리로 변한 공덕역…U+5G 갤러리 개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김주현 기자] [공덕역 U+5G 갤러리 내년 2월까지 운영…U+AR 앱으로 360도 회전 감상도 가능]

머니투데이

공덕역 U+5G 갤러리에서 하현회 LG유플러스 부회장(오른쪽)과 김태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이 증강현실 작품을 감상하고 있는 모습/사진제공=LG유플러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하철 6호선 공덕역. 지하철을 기다리다 스크린도어에 그려진 발레리나를 스마트폰 화면에 담았다. 그 순간 발레리나가 움직이기 시작했다. 스마트폰 속에서 발레리나는 춘앵전(春鶯囀)의 무보를 몸으로 표현한다. 공연 중인 발레리나를 원하는 대로 확대하고 360도로 회전해가며 감상한다.

LG유플러스가 5G(5세대 이동통신)와 AR(증강현실) 기술을 적용해 공덕역에 조성한 U+5G 갤러리 모습이다. 고객이 공덕역에 전시된 작품을 'U+AR'앱으로 찍으면 스마트폰 화면 속에서 작품이 움직이기 시작한다.

◇지하철 기다리며 예술작품 본다= LG유플러스는 세계 최초 5G 기반 문화예술 공간 U+5G 갤러리를 개관했다고 3일 밝혔다. LG유플러스는 고객들이 일상에서 5G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꾸준히 진행할 계획이다.

하현회 LG유플러스 부회장은 "LG유플러스만의 5G기술과 문화예술이 만나 세계최초 U+5G 갤러리를 구축했다"며 "시민들이 색다른 경험으로 작은 일상의 변화를 느끼는 좋은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U+5G 갤러리는 △지하철을 기다리며 보는 '플랫폼 갤러리' △지하철 내부의 '열차 갤러리' △이동하며 보는 '환승계단 갤러리' △환승 거점에서 체험하는 '팝업 갤러리' 등 4개 공간에 마련됐다. 곳곳에 24명의 예술가가 준비한 88개 작품이 전시돼있다.

플랫폼에는 신제현 작가가 무용수들과 협업한 다원예술 '리슨 투더 댄스'와 구족화가와 서울문화재단 소속 작가들의 회화 작품이 있다. 특별한 지하철도 운영된다. 1편(8량) 전체에 꾸며진 열차 갤러리는 공덕역뿐만 아니라 다른 역을 이용하는 많은 고객들이 이용할 수 있다. 고객들은 윤병운 작가와 애나한 작가가 준비한 특별전을 차량 내부를 걸으며 관람할 수 있다.

◇구글과 손잡고 AR콘텐츠 몰입감 높여..'구글 렌즈' 적용= LG유플러스는 갤러리 작품 구현을 위해 구글과 협력했다. 양사는 U+5G 갤러리처럼 AR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사용 사례를 발굴하기로 했다. 또 안드로이드 기반 5G 서비스의 글로벌 우수 사례를 만드는데 협력한다.

LG유플러스는 구글의 컴퓨터비전 기술과 AI(인공지능)를 기반으로 이미지를 인식해 콘텐츠를 제공하는 '구글렌즈' 플랫폼 파트너사로 참여했다. 구글렌즈의 국내 파트너사는 LG유플러스 뿐이다.

U+5G 갤러리의 33개 작품에는 구글렌즈가 적용됐다. 정지된 이미지가 구글렌즈를 통해 동영상처럼 자연스럽게 움직여 AR 몰입감을 높인다. 안드로이드폰 고객은 구글렌즈 앱을 다운받거나 구글 어시스턴트에서 구글렌즈를 호출해 사용할 수 있다. 아이폰 고객은 구글 앱을 다운받아 구글렌즈를 보면된다. 3D AR콘텐츠를 360도 돌려보거나 확대하는 건 U+AR 앱에서만 가능하다.

지난 2일 하현회 LG유플러스 부회장과 김태호 서울교통공사 사장, 전시 작가들은 공덕역에서 U+5G 갤러리 개관 축하 자리를 가졌다. U+5G 갤러리는 2020년 2월29일까지 공개된다.

황현식 LG유플러스 PS부문 부사장은 "시민들이 자주 이용하는 지하철 등 일상 공간에서 문화예술을 5G 기술과 접목해 즐기는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6개월을 준비했다"며 "지하철이 갤러리가 되고 탑승객이 관람객이 되는 특별한 시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김주현 기자 naro@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