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3 (토)

이슈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의원

윤미향 “한-일 위안부 합의 본질은 피해자 요구 반영 안한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잘못된 합의 책임져야할 외교부 관계자들이 논란 키워” <한겨레> 인터뷰서 답답함 토로

“합의 전날, 일본정부 책임 인정·사과·국고 거출 등 딱 3가지 통보 후 발표”

“소녀상 처리·불가역적 합의·국제사회 비난 자제 등 담겨 수용할 수 없었다”


한겨레

지난 2월26일 서울 종로구 중학동 옛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에서 윤미향 당시 정의기억연대 대표가 경과보고를 하고 있다.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일 위안부 합의는 피해자 요구를 반영하지 않은 채 일방적으로 이뤄졌다. 그게 문제의 본질이다. 그런데 당시 그 잘못된 합의의 책임을 지고 반성해야 할 외교부 관계자들이 지금 (위안부 지원단체와 관련한) 논란을 키우고 있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활동과 딸의 미국 유학자금 출처 의혹 등 논란의 중심에 선 윤미향 더불어시민당 당선자가 “2015년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가 일방적으로 이뤄진 본질에 주목해야 한다”며 답답한 심경을 토로했다.

윤 당선자는 11~12일 <한겨레>와 통화 및 문자로 2015년 한-일 합의 당시 상황과 딸의 유학 문제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밝혔다. 그는 “2015년만 해도 외교부 한-일 국장 회의가 여러 차례 진행됐다. 그때마다 우리가 외교부 쪽에 협상 진행 상황을 물어봤는데 돌아오는 대답은 ‘진척이 없다’였다. 2015년 8월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전후 70주년) 담화에서 한국 식민 지배에 대해서 말하지 않고 일본군 ‘위안부’ 문제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광복 70주년이었기 때문에 이 문제를 매듭짓고 가야 한다고 생각을 했는데 아베 담화가 엉망인 것을 보고 모두 포기하고 있었다. 그런데 2015년 12월24일 아베 총리가 기시다 후미오 외무상에게 올해 안에 위안부 합의를 마무리 하기 위해 방한하라는 지시를 내렸다는 보도가 나왔다. 그때도 외교부에 협상 상황을 물어봤지만 ‘진척 없다’는 똑같은 답이 돌아왔다”고 말했다.

외교부는 2015년에만 15차례 피해자 등과 협의했다고 밝혔지만, 당시 대화 내용이 2015년 한-일 합의 내용과 구체적으로 연관이 없었다는 것이다. 윤 당선자는 “외교부가 15차례 만났다고 이야기했는데 그 숫자는 명절 방문 등도 모두 포함한 것이다. 피해자 쪽과 협의했다는 명분용일 뿐이다. 외교부의 그런 발표를 보고 김복동 할머니가 살아계실 때 ‘그럼 명절 때도 만나지 말았어야 했네’라고 이야기했던 기억이 생생하다”고 했다.

윤 당선자는 외교부에서 실제 일본과의 합의 관련 내용을 통보를 받은 것은 2015년 12월27일 저녁이라고 밝혔다. 그는 “12월27일 저녁에야 외교부 동아시아 국장이 전화를 걸어왔다. 그날 한-일 국장 회의가 오후 늦게 끝났는데 그 뒤 전화를 해 온 것이다. 당시 외교부 국장은 일본 정부 책임 인정, 사과, 국고 거출 등 딱 3가지를 통보했다. 이 합의를 어떻게 판단해야 할 지 감이 잘 안잡혔다. 그래서 다음날 한-일 외교당국의 기자회견을 지켜봐야겠다고 생각했다. 12월28일 오전 법률가들과 이용수 할머니 등과 함께 합의 내용을 확인했다. 그런데 합의문에 소녀상 처리, 불가역적 합의, 국제사회 비난 자제 등 내용이 담겨있었다. 12월27일 전혀 통보받지 못한 핵심적이고 민감하며 후퇴한 내용이 담긴 것이다. 우리와 피해자들이 받아들일 수 없는 합의였다”고 말했다. 또 “지금 논란이 되는 것은 정대협이 피해자들과 미리 의논을 안 했다는 것인데, 12월27일 저녁에 문구 하나 수정할 수 없는 합의 내용을 핵심적인 부분을 모두 제외한 채 일부만 전달했고, 바로 그 다음날 발표를 해버렸다. 도대체 그 짧은 시간 동안 누구랑 어떻게 합의했어야 한다는 것인지 모르겠다”며 답답함을 토로했다.

윤 당선자는 딸의 유학 문제에 대해서도 입을 열었다. 그는 “남편이 (간첩 조작사건 재심 일부 무죄로) 받은 형사보상금과 가족들이 받은 손해배상금으로 유학 비용을 부담했다. 딸에게 ‘이 돈은 너의 꿈을 펼치는데 쓰라’고 이야기했다. 시민단체 활동가 딸이라고 해서 꿈을 펼치지 못할 이유는 없지 않나. 사실 가슴 아픈 가족사다. 누구에게 형사보상금을 받아 딸 유학을 보냈다고 이야기하겠나. 그런데 그걸 공개해야 하는 상황이 서글프다”고 밝혔다.

윤 당선자의 딸은 2016년 학비 장학금을 받고 미국 일리노이주의 한 음악대학으로 유학을 갔다. 그리고 2018년 9월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음악 대학원에 진학했다. 체류비에 더해 학비가 들기 시작한 것은 2018년 9월부터이며, 이때부터 지금까지 딸에게 들어간 비용은 1억원 남짓이라고 밝혔다. 윤 당선자는 “꼭 배상금이 아니라도 딸 유학을 보낼 수 있다. 내가 정대협에서 30년을 일했다. 여성재단에서 사무처장으로 일하기도 했다. 남편은 언론사 대표로 일하고 있다. 알뜰살뜰하게 모으면 가능한 일 아니냐”며 최근 논란과 관련한 답답함을 내비쳤다.

정환봉 기자 bonge@hani.co.kr

▶더불어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언론, 한겨레 구독하세요!
▶네이버 뉴스판 한겨레21 구독▶5.18 40돌 ‘다섯개의 이야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