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이, 휴가철, 방역 수칙 완화 겹쳐 재유행 가능성
고위험군에게 치명적... 요양병원·시설 대책 필요
"병상·치료제 연계 지체 없어야"... 면회 축소 의견도
12일 서울 송파구 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줄 서 기다리고 있다.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코로나19 6차 대유행이 본격화될 것이라는 예측이 잇따르면서 사망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준비를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올해 초 오미크론 대유행 당시 감염에 취약한 환자들이 몰려있는 요양병원과 요양원에서 5,500여 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만큼 이들 시설에 대한 철저한 점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확진자 전주 대비 1.87배 급증... 6차 대유행 가능성
12일 오전 서울 관악구 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시민들이 검사를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12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지난주(3~9일)에만 11만1,910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6월 5주차(5만9,834명)보다는 1.87배, 6월 4주차(4만9,375명) 보다는 2.27배 많은 수치다. 확진자 한 명이 몇 명을 감염시키는지 나타내는 감염재생산지수도 5주째 증가해 1.4까지 치솟았다.
방역당국은 확산세를 고려할때 6차 대유행이 올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정진원 중앙대 감염내과 교수는 "오미크론 하위 변이 BA.5의 확산, 휴가철, 거리두기 및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가 겹쳐 재확산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전 세계 62개국에 퍼진 BA.5는 기존 변이 BA.2보다 전파력이 강하다. 7월 1주차 국내 검출률은 35%로 높아졌다. 일각에서는 다음 달에 확진자가 20만 명을 넘을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오기도 한다.
치명률 낮아도 고위험군에겐 치명적... 요양병원·시설 대책 마련 시급
6월 20일 오후 서울의 한 노인요양센터를 찾은 면회객들이 입원 중인 가족을 만나기 전 코로나19 자가검사키트로 검사하고 있다.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치명률이 낮지만 확진자가 증가하면 사망자 규모도 늘어날 수밖에 없다. 전문가들은 특히 요양병원·시설 대비책이 촘촘히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요양병원·시설 입소자들은 단체생활을 해 집단감염 위험이 높고, 고령자의 대부분은 기저질환이 있는 고위험군이라 한 번의 코로나19 확산이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요양병원, 요양원 사망자 비율. 그래픽=강준구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실제로 5차 대유행(1월30일~4월24일) 당시 요양병원·요양원에서만 5,541명이 사망했는데, 이는 같은 기간 전체 코로나19 사망자(1만5,421명)의 35.9%였다. 최근 2개월 동안에도 전체 사망자(1,243명)의 23.7%(294명)가 요양병원·요양원에서 발생했다. 채윤태 성남시의료원 감염내과 교수는 "확산세 속에서 가장 위험한 건 요양시설에 수용된 노인 환자들"이라며 "지난번 유행 때 사망자가 많이 발생해 이들에 대한 보호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6월 20일 오후 대전 대덕구 여명실버케어센터를 찾은 면회객이 입원 중인 어머니와 면회를 하고 있다. 대전=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현장에서는 지체 없는 중증 환자 이송과 먹는 치료제 처방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병상 배정과 치료제 투약 시기를 놓쳐 목숨을 잃는 사례가 많았기 때문이다. 곽금봉 서울동부노인전문요양센터 원장은 "확진자가 발생하면 병원 등으로 옮겨줘야 하는데, (병상 부족으로) 2~3일 지체되는 동안 내부에서 확산된 경험이 있다"면서 "그런 일이 생기지 않도록 대비가 필요하다"고 했다. 기평석 대한요양병원협회장은 "지난번 유행 당시 치료제 사용에 익숙해진 만큼, 다른 변이가 와도 치료제 사용 환경이 잘 구축돼 있다면 큰 피해를 막을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들 시설의 대면 접촉 면회를 축소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요양원을 운영하고 있는 A씨는 "얼굴을 못 알아본다며 면회 중 마스크를 벗는 경우가 있어서 부담이 크다"면서 "대면 접촉 면회 축소를 검토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우주 고려대 감염내과 교수도 "앞선 유행 상황을 복기해보면 젊은층, 고령자, 요양병원·시설 순으로 확산되는 경향이 있었고, 요양병원·시설은 쑥대밭이 됐다"면서 "현재 병문안이나 출입 제한이 사실상 사라져 위험이 크다"고 강조했다.
오지혜 기자 5g@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