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정치계 막말과 단식

대정부 투쟁 부각했지만 ‘방탄’ 오명…이재명 단식이 남긴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윤 정부 문제점 각인시켰지만

“부결 메시지로 단식 명분 날려”


한겨레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1일 오전 서울 중랑구 녹색병원에서 박광온 원내대표와 대화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겨레 뉴스레터 H:730 구독하기. 검색창에 ‘한겨레 h730’을 쳐보세요.

윤석열 정부의 국정 쇄신을 요구하며 지난달 31일부터 단식을 이어온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23일 단식을 중단했다. 전두환 정권 시절, 직선제 개헌 등을 요구하며 23일 동안 단식한 김영삼 전 대통령의 단식 기간을 하루 넘어선 한국 정치사의 기록이지만, 그 성과를 두고는 평가가 갈린다. 제1야당 대표로서 강력한 대여 투쟁의 진지를 구축했다는 진단이 나오지만, 그의 단식이 국회 체포동의안 표결과 맞물리면서 명분과 실리를 모두 잃었다는 비판도 만만치 않다.

이 대표 단식은 뾰족한 대정부 투쟁 수단이 없었던 민주당 입장으로서는 대여 공세 수위를 높일 수 있었던 카드로 평가받는다. 비명계 한 초선 의원은 24일 한겨레에 “윤석열 정부의 폭주와 퇴행을 제어할 뾰족한 수단이 없던 상황에서 제1야당 대표가 자신의 몸을 희생하면서 지지자들을 결집시키고 정부의 문제를 드러내고 투쟁한 점은 성과”라고 했다. 김윤철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는 “(이 대표가 단식 투쟁으로) 전국의 이목을 집중시켰고, 자신의 존재감을 부각시킨 것은 물론, 지지층 결집 및 지지 강도를 높인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과 정부·여당의 불통 이미지를 부각했다는 점도 민주당으로서는 소득으로 꼽힌다. 비명계 재선 의원은 “정부·여당이 이 대표 단식장을 단 한번도 안 찾은 건 ‘민주당은 타협의 대상이 아니다’라는 그들의 속내를 가장 극명하게 보여준 장면”이라며 “이는 윤 정부의 본질을 드러내고 국민을 분노케 하는 효과가 있었다”고 말했다.

다만, 단식 중 이 대표 체포동의안 국회 표결이 맞물리면서 자신의 사법리스크를 피하기 위한 ‘방탄용 단식’이라는 의심의 목소리를 피할 수 없었다는 점은 한계로 지적된다. 특히, 이 대표가 체포동의안 국회 본회의 표결 전날인 지난 20일 당내에 사실상 부결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낸 것은 단식의 명분을 허물고 ‘방탄 단식’임을 자인한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계파색이 옅은 민주당 중진 의원은 “단식 초반에는 대여 투쟁이 부각됐으나, 체포동의안이 국회로 넘어오면서 이 대표 단식이 ‘체포동의안 부결을 위해 하는 게 아니냐’는 식으로 국면이 전환됐다”며 “이 대표가 20일 내놓은 ‘부결’ 메시지는 (대정부 투쟁이란) 단식 명분을 다 날려버렸다. 더욱이 체포동의안이 가결되면서 모양새는 더욱 안 좋아졌다”고 말했다.

결과적으로 당내 갈등을 더욱 심화했다는 비판도 있다. 단식 초반 당내 결속이 강화되는 분위기였으나, 체포동의안 처리와 관련한 이 대표의 ‘부결’ 메시지에 이은 국회 가결로 친명과 비명 간의 갈등은 최고조에 이른 상황이다. 채진원 경희대 공공거버넌스연구소 교수는 “이 대표 단식은 스스로 명분을 허물었고, 처음에 제시한 목표 달성도 못 했으며, 건강까지 잃는 등 결과적으로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강재구 기자 j9@hani.co.kr

▶▶소방관의 오늘을 지켜주세요 [한겨레 캠페인]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한겨레 네이버에서 구독 클릭!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