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성 조현상 부회장, 지난해 퇴직금 172억 포함 1위
신동빈 200억대, 순수 연봉 1위…최태원, 60억 동결
ⓒ News1 김지영 디자이너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박기호 기자 = 국내 주요 그룹 총수 가운데 지난해 가장 많은 연봉(퇴직금 포함)을 수령한 기업인은 조현상 HS효성 부회장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대 그룹 가운데선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의 연봉이 가장 많았다.
재계 서열 1위인 삼성그룹 총수인 이재용 회장은 여전히 무보수였으며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역대급 실적에도 연봉을 60억 원으로 동결했다. 전문경영인 중에선 백우석 OCI홀딩스 고문이 약 248억 원으로 가장 많았다.
조현상 부회장, 퇴직금 포함 323억…순수 연봉왕은 신동빈 회장
국내 재계 총수 연봉왕이 바뀌었다. 2023년 연봉을 가장 많이 받았던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2위로 내려앉은 대신 그 자리를 조현상 HS효성 부회장이 차지했다. 두둑한 퇴직금 효과다.
2023년도 연봉왕이었던 신동빈 회장은 지난해 200억 원 이상 받은 것으로 보인다. 신 회장은 롯데지주에서 급여와 상여 등 59억 7200만 원, 롯데케미칼에선 38억 원, 롯데칠성으로부터 34억 9300만 원, 롯데웰푸드에선 26억 500만 원, 롯데쇼핑에서 19억 6400만 원을 수령했다. 롯데지주 등 총 5곳에서 받은 보수만 178억 3400만 원이다. 신 회장은 아직 사업보고서를 공시하지 않은 호텔롯데, 롯데물산에서 받은 보수를 합하면 200억 원을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신 회장은 작년 상반기 호텔롯데에서 13억 1400만 원, 롯데물산에선 5억 9200만 원을 수령했다. 신 회장은 작년 연봉왕 자리는 내줬지만 퇴직금을 제외한 순수한 연봉왕 자리는 지켰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은 139억 8100만 원의 보수로 4위를 기록했다. 김 회장은 ㈜한화에서 42억 원을 비롯해 한화시스템에서 43억 2000만 원, 한화솔루션에선 42억 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서 12억 6000만 원의 보수를 받았다. 김 회장의 보수는 한화솔루션에서 받은 기타 근로소득 100만 원을 제외하고 상여 등이 없는 순수한 급여였다.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은 작년 115억 원을 받았다. 정 회장은 현대차에서 급여 40억 원, 상여 28억 원, 기타 근로소득 2억 8700만 원 등 총 70억 8700만 원을, 현대모비스에서 44억 3100만 원을 수령했다. 정 회장은 기아 등기임원이지만 보수를 받지는 않았다. 올해부터는 기아에서도 보수를 수령할 예정이다.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은 지난해 대한항공 51억 300만 원, 한진칼 41억 5373만 원, 진에어 9억 5600만 원 등 모두 102억 1273만 원을 받았다. 또한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장남인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은 ㈜한화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서 각각 30억 5800만 원, 한화솔루션에선 30억 8300만 원을 받아 총 91억 9900만 원의 보수를 받았다. 그 뒤를 이어 조현준 효성그룹 회장이 ㈜효성에서 58억 원의 급여와 33억 8300만 원 등 총 91억 8300만 원을 받았다.
이재용 회장 무보수 경영 계속…최태원 회장, 10위권 밖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보수를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회장은 지난 2017년부터 7년째 급여를 받지 않고 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지난해 60억 원을 수령, 상위 10 안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최 회장은 SK㈜에서 35억 원, SK하이닉스에서 25억 원을 받아 총 60억 원의 보수를 받았다. 최 회장은 2023년에도 두 회사에서 60억 원을 받았는데 동결된 셈이다. 최 회장은 다른 계열사에선 보수를 받지 않고 있다.
goodday@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