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이슈 화성연쇄살인사건 범인 자백

충남·경기 ‘베이밸리 메가시티’ 13개 사업 본격 추진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평택항에서 '베이밸리 상생 협력 사업 공동보고회' 열어

전형식 충남 정무부지사가 21일 경기 평택항 마린센터에서 열린 베이밸리 상생협력 사업 공동보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충남도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충남도와 경기도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베이밸리 메가시티 13개 세부 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충남도는 21일 평택항 마린센터에서 경기도와 '충남·경기 베이밸리 상생 협력 사업 공동보고회'를 열었다.

이날 회의는 지난해 진행될 예정이었던 베이밸리 비전 선포식이 화성 공장 사건으로 취소된 이후 마련된 첫 실무진 회의다.

두 단체는 회의에서 베이밸리 50개 세부 사업 중 양측이 합동으로 추진하는 4개 분야 13개 사업의 진행 상황을 공유하고 향후 사업 추진 방향을 논의했다.

베이밸리는 충남 북부와 경기 남부 아산만 일대를 반도체, 수소 경제 등 대한민국 4차 산업을 선도하는 글로벌 경제 거점으로 육성하는 초광역 사업이다.

충남도와 경기도는 베이밸리 건설을 위해 베이밸리 순환철도망 구축, 서해선∼경부고속선(서해선 KTX) 연결,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C노선 경기∼충남 연장, 제2서해대교 건설, 평택·당진항 항만배후단지 개발, 중부권 수소공급 허브 조성 등의 협력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 청정수소 생산 기술개발 공동 연구, 미래차 글로벌 첨단산업 육성, 마리나 관광거점 기반 조성, 해양레저 콘텐츠 개발 및 이벤트 개최, 베이밸리 투어패스 개발, 해양쓰레기 공동 관리, 베이밸리 취·창업 생태계 활성화 등도 함께하고 있다.

베이밸리 순환철도는 지난해 11월 개통했으며 서해선KTX 연결 사업은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

GTX-C 경기∼충남 연장 사업은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 반영을 정부에 건의했고, 제2서해대교 사업 역시 제7차 국도·국지도 건설 계획에 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청정수소 생산기술개발 공동 연구의 하나로 추진한 그린수소 수전해센터는 지난해 10월 당진 석문면에 준공해 가동 중이다.

청정수소 시험평가·실증화 지원센터는 평택 브레인시티 일반산업단지에 건립 중으로 내년 완공된다.

마리나 관광 거점 기반 조성을 위해 충남과 경기는 7개 섬과 항구 등에 소규모 계류시설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관광 활성화를 위한 베이밸리 투어패스는 조만간 판매를 시작할 계획이다.

충남과 경기는 지난해 해양 쓰레기 공동 수거·운반을 했으며 취·창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청년 공간 조성 등을 진행하고 있다.

향후 두 기관은 실무추진단을 구성해 업무협의 방식을 논의하는 등 13개 사업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전형식 충남도 정무부지사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소통과 협력을 통해 두 지역의 상생 발전이라는 공동 목표를 향해 나아가자"고 말했다.

김성중 경기도 행정부지사는 "두 지역이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협력해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뤄가자"고 화답했다.

충청취재본부 최형욱 기자 ryu409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