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건 대신 사는 '노바 액트' 공개
알리바바도 AI 개발 모델 선보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이 이용자의 심리를 이해해 물건을 대신 구매해주는 인공지능(AI) 에이전트(비서)를 공개했다. 2034년이면 전 세계 AI 에이전트 시장 규모가 1966억 달러(약 289조 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는 등 성장 잠재력이 큰 시장에 참전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오픈AI와 알리바바를 비롯한 글로벌 빅테크들과 국내 기업들까지 앞다퉈 AI 에이전트를 선보이고 있어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1일 IT 업계에 따르면 아마존은 새로운 AI 에이전트 모델 ‘노바 액트(Nova Act)’를 지난 달 31일(현지 시간) 공개했다. 노바 액트는 별다른 명령 없이도 AI가 스스로 웹 브라우저 상에서 이용자 대신 물건 구매·식당 예약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아마존은 연구용 미리보기 형태로 선보인 노바 액트를 자사 AI 음성 비서인 ‘알렉사+(플러스)’에도 탑재할 예정이다.
아마존이 새롭게 선보인 AI 에이전트가 오픈AI의 ‘오퍼레이터’에 대적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인다. 지난 1월 오픈AI가 출시한 오퍼레이터는 AI가 직접 웹 브라우저를 탐색해 이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자율적으로 수행한다. 예컨대 오퍼레이터에 ‘계란, 사과’ 등 장보기 메모 사진을 올린 후 ‘이 식료품들 구매해줘’라고 음성·문자로 명령하면 오퍼레이터가 직접 이들을 장바구니에 담아 주문하는 식이다. 다만 결제 등 민감한 정보는 사람이 직접 입력한다.
국내 기업 중에는 카카오(035720)가 이용자의 마음을 읽는 AI 에이전트 ‘카나나’를 연내 출시한다. 이번 분기 중 일반인을 대상으로 비공개 베타테스트(CBT)도 진행한다. 카카오는 ‘선물하기’에도 AI를 붙일 예정인데, 아마존·오픈AI와 같은 AI 에이전트 서비스를 선보일지 주목된다. 이 외에도 네이버 역시 지난 달 선보인 독립 쇼핑 앱 ‘네이버플러스 스토어’에 AI기술을 적극 도입해 상품 탐색부터 배송 후기까지 모든 과정을 지원하는 ‘구매 가이드’를 접목했다.
양지혜 기자 hoje@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