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세월호 인양 그 후는

유병언 차남 9년 만에 강제 송환…“세월호 유족들 가장 억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의 차남 유혁기 씨가 세월호 참사 발생 9년 만에 4일 오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입국, 인천지검으로 압송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550억원대 횡령·배임 혐의를 받는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2014년 사망)의 차남 혁기(50)씨가 4일 오전 미국에서 국내로 강제 송환됐다.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지 9년 만이다. 유씨는 세월호 사건과 관련해 국외로 도피한 4명 중 국내로 송환된 마지막 피의자다.

인천지검은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횡령·배임 혐의로 유씨를 체포해 이날 오전 7시20분께 인천국제공항으로 송환했다. 앞서 검찰 호송팀은 전날 미국 뉴욕 존에프케네디 국제공항 내 한국행 대한항공 여객기에서 미 수사당국 관계자들로부터 유씨를 넘겨받아 체포 영장을 집행했다.

유씨를 태운 여객기는 애초 이날 오전 5시20분께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에 도착할 예정이었으나, 출발이 늦어지면서 오전 7시20분께 착륙했다. 입국장에 들어선 유씨는 취재진의 잇따른 물음에 “조사에 성실히 임하고 재판 과정에서 밝히겠다”면서도 “단 하루도 도망 다닌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유씨는 취재진이 “세월호 참사 유가족에게 할 말은 없느냐”고 묻자 “저는 그분들이 세상에서 가장 억울하다고 생각한다”고 답하기도 했다.

유씨의 강제송환은 2020년 미국 뉴욕에서 현지 수사당국에 체포된 지 3년 만이다. 그는 아버지의 측근인 계열사 대표들과 공모해 컨설팅 비용 등 명목으로 모두 559억원을 빼돌리고 회사에 손실을 끼친 혐의를 받고 있다. 앞서 인천지검 특별수사팀은 세월호 참사 직후 선사 ‘청해진해운’의 실질적인 지배주주로 유 전 회장 일가를 지목하고 경영 비리를 대대적으로 수사했다. 당시 검찰은 유씨가 아버지인 유 전 회장에 이어 계열사 경영을 주도한 사실상의 경영 후계자라고 판단했다. 이후 미국 영주권자인 유씨가 귀국하지 않자 인터폴을 통해 적색 수배령을 내리고 미국 측에 범죄인 인도를 요청했다.

유 전 회장은 세월호 참사 후 국내에서 장기간 도피 생활을 하다가 2014년 7월 전남 순천에 있는 밭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김기성 기자 player009@hani.co.kr

▶▶한겨레의 벗이 되어주세요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