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한 대학가 알림판에 게시된 원룸 홍보물. 문재원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최근 1인 가구가 급격히 늘어난 가운데 이들이 높은 주거비 부담과 고용 안정성 하락으로 씀씀이를 줄이면서 전체 소비 회복을 제약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3일 발간한 ‘최근 1인 가구 확산의 경제적 영향 평가’ 보고서를 보면, 1인 가구의 평균소비성향(가처분소득 대비 소비지출)은 2019년 0.78에서 지난해 0.74로 5.8% 감소했다. 같은 기간 전체 가구의 평균소비성향 평균 감소율(3.1%)보다 더 많이 줄어든 것이다.
1인 가구에 이어 3인 가구 -4.3%(0.69→0.66), 2인 가구 -2.5%(0.71→0.69), 5인 이상 -1.8%(0.77→0.76), 4인 가구 -0.5%(0.74→0.73) 순으로 소비 위축의 정도가 심했다.
한은은 1인 가구가 전체 가구의 35.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의 코로나 팬데믹 이후 평균소비성향이 다른 가구보다 크게 떨어지면서 경제 전체의 소비 회복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했다.
1인 가구의 특징을 보면, 상당수는 청년층(18.6%)과 고령층(19.1%)이었으며 1인 가구의 70%가 연 소득이 3000만원에 미치지 못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1인 가구의 지출 가운데 2023년 기준으로 월세 등 주거·수도·광열비 비중이 평균 20%를 넘는 가운데, 코로나19 이후 지속적으로 월세 수준이 높아지면서 특히 청년층 1인 가구의 소비를 제약하고 있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청년층 1인 가구의 월세 비중은 64.1%(2020년 기준)로 다른 연령층의 1인 가구 월세 비중(30~40%대)과 비교해 높은 수준이었다. 전세사기 사태 이후 월세로 갈아탄 사람들이 늘어났다는 점을 고려하면 청년층 1인 가구의 주거비 부담은 더욱 커졌을 것으로 보인다.
고령층 1인 가구는 고용 안정성 측면에서 취약한 모습을 보인다고 한은은 진단했다. 60세 이상 1인 가구에서는 임시·일용직 비중이 52.3%로 다른 연령대(10~20%)에서보다 두 배 이상 높았다. 고령층의 경우 코로나 당시 임시·일용직 일자리가 크게 줄면서 경험한 ‘상흔(상처) 효과’가 장기간 이어져 소비를 줄이는 것으로 분석했다. 코로나 전후로 똑같이 돈을 벌어도 코로나 이전 만큼 돈을 쓰지 못한다는 것이다.
한은은 내수 기반 강화를 위해서 1인 가구의 주거·소득·고용 안정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재호 한은 조사총괄팀 과장은 “청년층의 경우 주거비 부담을 해소하고 고령층에는 열약한 소득과 고용 등 빈곤 대책이 우선되어야 한다”며 “다만 1인 가구 지원책이 저출생 대책과 상충할 수도 있어 취약계층을 포괄하는 정책 안에서 1인 가구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지선 기자 vision@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명태균 게이트’ 그들의 은밀한 거래, 은밀한 관계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