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3 (토)

이슈 질병과 위생관리

노안-난청, 잘 관리하면 늦출 수 있다[건강수명 UP!]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4회〉 눈과 귀를 보호하라

동아일보-고려대의료원 공동 기획

눈 침침 노안 따뜻한 눈마사지 도움… 자외선 차단-안구건조 예방도 중요

난청 막으려면 소음 가급적 피해야

동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동아일보

송종석 고려대 구로병원 안과 교수가 눈을 보호하려면 자외선을 차단하고 가끔 멀리 볼 것을 주문했다.(위쪽 사진) 임기정 고려대 안암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평소 자가진단으로 난청 여부를 판단할 것을 권했다. 고려대의료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동아일보

나이가 들면 눈이 침침해진다. 노안이다. 귀가 먹먹해지다가 소리가 잘 들리지 않는다. 노인성 난청이다. 노안과 노인성 난청은 생명에 지장을 초래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린다. 이 두 질환을 막을 수는 없다. 다만 최대한 늦추거나 증세를 완화시킬 수는 있다. 눈과 귀를 건강하게 보호하는 방법을 찾아보자.

● 40대부터 시작되는 노안

동아일보

송종석 고려대 구로병원 안과 교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나이가 들어 눈이 침침하고 가까운 사물이 잘 안 보인다면 노안이 시작됐다고 보면 된다. 노안이라고 해서 시력이 떨어지지는 않는다. 송종석 고려대 구로병원 안과 교수는 “눈이 안 보인다며 병원을 찾아온 40대와 50대 환자 중에 정상 시력인 경우가 의외로 많다. 시력 감퇴가 노안의 원인이 아니란 얘기다”라고 말했다.

노안은 수정체의 탄력성과 관련이 있다. 원래 가까운 것을 볼 때는 수정체가 두꺼워지고, 멀리 있는 것을 볼 때는 수정체가 얇아진다. 하지만 노화로 인해 수정체의 탄력성이 떨어지면 이 조절력이 떨어져 가까운 사물을 잘 볼 수 없게 되는 것.

노안을 늦추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송 교수는 “동공을 수축시켜 수정체의 역할을 돕는 방식으로 노안을 해결해주는 약물이 해외에선 상품화돼 팔리고 있다”라고 말했다. 송 교수는 “국내에서도 이와 비슷한 임상시험이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나이가 들면 백내장을 피하기도 쉽지 않다. 70대의 경우 백내장이 있는 경우가 90%를 넘을 정도다. 나이가 들면서 투명했던 수정체가 혼탁해지거나 다치면서 안개가 낀 것처럼 사물이 흐려 보이거나 빛 번짐이 있는 질병이다.

동아일보

엄영섭 고려대 안산병원 안과 교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백내장이 있다고 하더라도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으면 굳이 수술하지 않아도 된다. 만약 수술이 필요한 상황이라면 하는 게 좋다. 그렇지 않으면 시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엄영섭 고려대 안산병원 안과 교수는 “수술은 10∼20분이면 끝나고 큰 부작용도 없다”라고 말했다. 각막을 2∼3mm 절개해서 초음파 기구를 넣고 백내장이 생긴 수정체를 빼내고 인공수정체를 삽입한다. 상처 부위가 아무는 데 2개월 정도가 걸린다.

● 올바른 눈 관리법

송 교수는 “눈 영양제로 알려진 건강 기능성 식품을 먹는다고 해서 노안과 백내장을 늦출 수는 없다. 일상생활에서부터 습관을 바꾸는 것이 최선”이라고 말했다. 송 교수와 엄 교수에게 눈 관리법을 들어봤다.

첫째, 자외선을 차단해야 한다. 자외선이 눈의 노화를 유발한다는 사실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시신경 보호를 위해 금연은 필수다.

둘째, 눈에 작은 병이라도 생긴다면 눈의 노화가 더 빨리 진행된다. 가령 눈에 염증이 생기는 포도막염이 있을 때 수정체도 빨리 노화한다. 따라서 안과 질환이 발생하면 곧바로 대응해야 한다.

셋째, 안구 건조를 막아야 한다. 일상생활에서 근거리 작업을 많이 하고 눈을 많이 쓸수록 눈이 마르기 쉽다. 이럴 때 인공눈물만 넣는 것은 해결책이 아니다. 안구 건조가 진행되면 안구 표면에 상처가 생기고 염증으로 이어진다. 염증을 억제하는 치료를 해야 노화를 늦출 수 있다.

휴대전화는 안구 건조증을 유발하는 요인이다. 평균 4초마다 눈을 깜빡이는 게 정상인데, 휴대전화에 집중하면 수십 초 동안 눈을 깜빡이지 않을 수 있다.

넷째, 평소 근거리 작업을 했다면 가끔 먼 곳을 응시하는 게 좋다. 눈을 쉬게 하자는 취지다. 최소한 10초 이상은 먼 곳을 보도록 하자. 눈동자를 돌리는 식의 ‘눈 체조’는 굳이 하지 않아도 된다. 그래도 체조를 한다면 눈동자를 너무 크게 돌리면 안 된다. 시신경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다섯째, 따뜻하게 눈 마사지를 하는 것도 좋다. 이렇게 하면 눈물에 있는 기름 성분이 배출된다. 10분 정도 해 주면 좋다. 젖은 수건보다 마른 수건이 좋고, 대략 40도 내외의 온도가 적당하다. 세게 눈을 누르면 각막 등에 손상이 갈 수 있으므로 살짝 대는 식으로 마사지하는 게 좋다. 눈 마사지 기구들은 안압을 올릴 수 있어 녹내장 환자는 피해야 한다.

● 노인성 난청 예방해야

노인성 난청은 퇴행성 변화로 인해 청력이 떨어지는 것을 말한다. 국내의 경우 65세 이상 인구의 38% 정도에서 발견된다. 노인성 난청은 이르면 30대부터 시작된다. 이후 점차 심해져서 60대 이후에는 청력이 거의 들리지 않는수준까지 악화할 수도 있다.

동아일보

임기정 고려대 안암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노인성 난청이 시작되면 이명부터 나타난다. 임기정 고려대 안암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라디오가 고장 나면 잡음이 나는 것과 같은 원리”라며 “나이가 들수록 고음이 잘 안 들리고 ‘삐’ 하는 이명이 들린다”라고 말했다.

사람에 따라서는 낮은 소음의 이명이 들리기도 한다. 이 경우에는 두통이 동반되기도 하는데, 청력과 관련된 근육에 문제가 생긴 근육성 난청일 확률이 높다. 근육성 난청은 일시적이기 때문에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큰 소리에 노출된 게 원인인 소음성 난청도 있다. 소음성 난청은 당장 노인성 난청과는 관련이 없지만 방치했을 경우 청각 신경에 손상이 갈 수 있다. 이런 상황이라면 나중에 노인성 난청으로 악화할 가능성이 크다. 소음 난청도 미리 치료하는 게 좋다.

노인성 난청이 심해지면 청력이 떨어진다. 보통 청력의 40%가 손상되면 보청기 착용을 검토해야 한다. 청력의 50%가 손상되면 반드시 보청기를 착용해야 한다. 청력 손상 정도가 60%에 이르면 청각 장애 진단을 받게 된다.

임 교수는 “보청기를 착용해야 하는데도 노화를 인정하지 않고 착용을 거부하는 환자들이 더러 있다. 그 경우 청력은 더 빠른 속도로 나빠진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이런 상태를 방치할 경우 치매 확률도 높아진다. 임 교수는 “잘 들리는 사람과 난청이 있는 사람을 5∼10년 동안 비교했더니 난청이 있는 사람이 치매 발병 확률이 5배 높다는 연구가 있다”라고 말했다. 소리가 뇌를 충분히 자극하는데, 잘 듣지 못하니 뇌에 미치는 자극이 떨어진다는 것.

● 귀 건강 관리법

노인성 난청에 걸리면 치료하기가 쉽지 않다. 임 교수는 “난청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다고 광고하는 건강기능식품들이 많은데, 아직 의학적으로 난청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약물은 없다”라고 말했다. 따라서 무엇보다 예방이 중요하다.

우선 노인성 난청으로 이어질 수 있는 소음성 난청을 막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소음에 덜 노출돼야 한다. 귀를 혹사해서는 안 된다. 버스나 지하철에서 나는 소음은 40∼60dB이다. 이어폰을 쓰고 음악을 큰 소리로 들을 때 소음은 80∼100dB 정도까지 올라간다. 이런 습관이 반복되면 소음성 난청에 걸리기 쉽다.

둘째, 난청 자가 진단을 해보자. 먼저 △전화 통화에 어려움이 있는지 △두 명 이상과 동시에 대화하기가 어려운지 △TV 볼륨을 높여 주변 사람들이 불평한 적이 있는지 △대화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지를 떠올려 보자.

이어 △시끄러운 장소에서 듣기가 어려운지 △다른 사람에게 다시 말해 달라고 청했는지 △사람들이 중얼거리는 것처럼 보이는지를 점검한다. 마지막으로 △다른 사람의 말을 잘못 이해해 부적절한 행동을 했는지 △특히 아이나 여자의 말을 이해하기 어려운지 △다른 사람의 말을 잘못 이해해 주변에 피해를 줬는지를 따져 보자.

총 10개의 문항에서 3개 이상 해당한다면 난청의 위험이 크다. 이비인후과에 가서 조언을 구하는 게 좋다. 임 교수는 “정기적으로 청력 검사를 받는 게 최선의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셋째, 식습관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짠 것과 단것, 매운 것을 많이 먹으면 메니에르병과 같은 귀 질환에 걸릴 수 있다. 이 또한 난청으로 악화할 수 있다.

김상훈 기자 corekim@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