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재, 전원일치 윤 전 대통령 탄핵 인용
━
5개 소추 사유 다 인정, 논란 종지부
국민은 승복, 정치권은 개헌 시동을
이로써 윤 전 대통령은 박근혜 전 대통령에 이어 두 번째로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물러난 대통령이 됐다. 반복된 대통령의 탄핵은 참담하기 짝이 없는 국가적 불행이다. 후유증이 없어야 하겠지만 낙관하긴 쉽지 않다. 지난 2일 발표된 전국지표조사(NBS)에서 “심판 결과가 내 생각과 다르면 수용하지 않겠다”는 응답이 44%에 달했다. 대한민국의 법치와 민주주의 회복력이 시험대에 오른 것이다. 헌정질서의 최후 보루인 헌재의 결정에 정치권은 물론 국민 전체가 승복하는 지혜가 절실하다.
이제 탄핵 정국이 마무리됐다. 윤 전 대통령은 선고 직후 “나라를 위해 일할 수 있어 큰 영광이었다.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죄송하다”는 입장을 냈다. 그 말대로 헌재 결정에 분명하게 승복하는 한편, 강성 지지세력을 설득해 자제와 승복을 끌어냄으로써 국정 안정에 힘을 보태기 바란다.
국민 역시 헌재 결정을 받아들이고, 일상으로 돌아갈 때다. 찬탄 시위건, 반탄 시위건 일부 극렬세력을 빼고는 나라를 생각하는 마음에서 나온 사람이 많았을 것이다. 이제는 서로가 마음을 열고 통합과 화합의 길로 함께 나설 때다. 더불어민주당 역시 “우리가 이겼다”며 환호할 때가 아니다. 헌재는 판결문에서 “민주당의 탄핵소추가 이례적으로 많았고, 정부가 반대하는 법률안들을 일방적으로 통과시켰다”며 민주당도 계엄 사태에 책임이 작지 않음을 질책했다.
38년 전과 비교할 수 없이 몸집이 커진 대한민국에 더는 맞지 않는 현행 헌법을 고치지 않으면 지금 같은 정치 비극이 반복되지 않으리란 보장이 없다. 권력 분산과 중대선거구제를 핵심으로 하는 개헌은 한시라도 미룰 수 없는 초미의 국가적 과제가 됐다. 모든 유력 대선 주자들이 이미 개헌에 찬성의 뜻을 밝힌 가운데 홀로 침묵해 온 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참여가 특히 절실하다. 이 대표는 “내란 극복이 우선”이란 말을 반복해 왔지만, 윤 전 대통령이 탄핵당한 만큼 이제는 개헌에 동참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이제 60일 이내에 21대 대통령선거가 치러진다. 지긋지긋한 갈등과 불모의 정치를 끝내고 미래를 위한 통합과 생산의 정치를 모색해야 할 시간이다.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