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의 모습. 2025.3.31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교육부가 31일을 의대생 복귀 시한으로 잡은 가운데 이날 전국 40개 의대 중 38곳이 전원 복귀했다. 하지만 학생 수업 참여율은 여전히 낮았다.
교육부는 등록률과 복귀율을 모두 고려해 2026학년도 모집인원을 결정할 방침이다. 때문에 이번 주 의대생 수업 참여 여부가 관건이다.
●등록률은 높지만, 수업 복귀 미미
31일 교육계와 각 대학에 따르면 40개 의대 중 인제대와 한림대를 제외한 38개 의대가 전원 복귀했다. 주요 5개 의대(서울대 연세대 성균관대 가톨릭대 울산대)를 시작으로 복귀생이 하나씩 늘어나다가 교육부가 마지막 시한으로 삼은 날 모두 복귀한 것이다. 인제대와 한림대는 복귀 현황을 따지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31일까지도 대다수 의대생이 수업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연세대 등 여러 의대 학생회는 앞서 등록은 하되 수업을 거부하는 형태의 ‘등록 투쟁’ 방침을 밝혔다. 수업 거부 시 정부가 약속한 2026학년도 의대 정원 동결은 무산될 가능성이 높다.
지방 국립대도 마찬가지였다. 경북대와 부산대 의대 역시 온라인으로 수업을 진행했지만, 출석한 학생 수는 적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실질 수업 참여 시 모집인원 동결”
교육부는 이날 “등록 이후 모든 학생에게 수업 거부(등록 투쟁)를 요구할 경우 재학 중인 대학에 따라 제적되는 곳이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구연희 교육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등록을 했어도 1개월간 무단 결석 시 제적되는 학교가 있고, 출석 일수가 모자라면 F 학점을 받고 유급 처리되는 대학이 대부분”이라며 “유급 횟수가 쌓이면 제적되는 학교도 있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인원 동결 여부를 언제 발표할지 밝히지 않고 있다. 31일 밤 12시까지 등록 현황을 4월 1일부터 집계하고, 의대생 수업 참여 여부도 봐야 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4월 공고된 2026학년도 대학 입학전형 시행계획을 변경하려면 각 대학이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 4월 30일까지 신청해야 하는 만큼 시간은 1개월 남았다.
최예나 기자 yena@donga.com
김민지
부산=김화영 기자 run@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